728x90
반응형

투자 기초 93

ROA란? – 자산을 얼마나 잘 굴리는지를 보여주는 지표

지난번 자기자본이익률이라 불리는 지표, ROE(Return on Equity)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바로 이어서 ROA(Return on Assets)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주로 ROE와 함께 자주 비교되며, 기업의 자산 운용 효율성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입니다. ✅ ROA란?ROA(Return on Assets)는회사가 보유한 전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으로 바꾸는지를 보여주는 수익성 지표입니다. 즉, “내가 가진 모든 자산을 얼마나 잘 굴려서 돈을 벌고 있는가?”를 나타내죠. ✅ ROA 공식ROA=당기순이익 ÷ 총자산×100당기순이익: 실제 벌어들인 순이익 (세금·비용 다 제하고 남은 순수 이익)총자산: 회사가 보유한 모든 자산 (자기자본 + 타인자본) ✅ 예시로 쉽게 이해해보기..

투자 기초 2025.05.03

ROE란? – 자기자본이익률의 개념과 투자 해석

ROE는 주주의 돈(자기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으로 바꾸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즉, 회사가 내 돈(자본)으로 얼마나 잘 벌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입니다. ✅ ROE 공식ROE=당기순이익 ÷ 자기자본×100당기순이익: 세금과 비용을 다 제하고 실제 벌어들인 순수 이익자기자본: 자산 - 부채, 즉 회사가 빌린 돈을 뺀 ‘순수 내 돈’곱하기 100을 해서 % 단위로 표현합니다 ✅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어떤 회사의 자기자본이 500억 원,당기순이익이 50억 원이라면: ROE=50억 ÷ 500억×100=10%➡️ 이 회사는 주주의 돈으로 10% 수익을 올렸다는 뜻입니다. ✅ ROE가 높다는 뜻은?ROE 10% 이상: 일반적으로 수익성이 좋은 회사로 평가ROE 5% 이하: 수익성이 낮거나 자..

투자 기초 2025.05.02

PER이란? – 주가수익비율의 개념과 투자 해석

PER은 주가가 그 회사의 이익(Earnings)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하면, "이 회사는 이익의 몇 배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나?"를 나타내는 숫자예요. ✅ PER 공식PER = 주가 ÷ EPS (주당순이익)​주가: 한 주의 현재 가격EPS (Earnings Per Share): 한 주당 벌어들이는 이익EPS=순이익발행주식 수\text{EPS} = \frac{\text{순이익}}{\text{발행주식 수}}EPS=발행주식 수순이익 ✅ 쉽게 예를 들면?어떤 회사의 주가가 30,000원이고,EPS가 3,000원이면,PER = 30,000 ÷ 3,000=10➡️ 이 회사의 PER은 10배입니다. ✅ PER이 의미하는 것PER 10이라면,👉 "이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 기준으로 ..

투자 기초 2025.05.01

EPS란? – 주당순이익의 개념과 계산법

EPS는 말 그대로 “한 주당 얼마만큼의 이익을 벌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회사의 전체 순이익을 발행된 주식 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 EPS 공식EPS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 수​당기순이익: 회계연도 동안 회사가 벌어들인 최종 이익 (세금, 이자, 비용 등 다 뺀 순수 이익)발행주식 수: 보통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 예시로 쉽게 설명하면어떤 회사의 순이익이 100억 원이고,발행한 주식이 1,000만 주라면:EPS = 100억 ÷ 1,000만주 = 1,000원➡️ 이 회사는 한 주당 1,000원만큼 이익을 벌어들인 셈입니다. ✅ EPS는 왜 중요할까요?EPS는 기업의 수익성을 직접적으로 보여줍니다.EPS가 높다 = 수익성이 좋은 회사EPS가 낮다 = 수익성이 낮거나 적자일 수 있음또한..

투자 기초 2025.04.30

PBR(주가순자산비율)이란? – 주식 투자자를 위한 핵심 지표

주식 투자에서 종목을 분석할 때 자주 등장하는 지표 중 하나가 바로 PBR (Price to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입니다. 이 글에서는 PBR이 무엇인지,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리고 해석하는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PBR의 정의PBR은 한 기업의 주가가 그 기업의 순자산 가치(장부가치)에 비해 얼마나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 지표입니다. 📌 공식: PBR = 주가 ÷ BPS 여기서 주당 순자산(BPS, Book Value Per Share)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BPS= 자기자본 ÷ 발행주식 수 ​2. PBR의 의미PBR = 1: 주가가 회사의 장부상 순자산과 같음PBR : 주가가 순자산보다 낮게 거래 → 저평가 가능성PBR > 1: 주가가 순자..

투자 기초 2025.04.29

BPS란 무엇인가요? – 주당순자산의 개념과 활용법

주식 투자에서 BPS(Book Value Per Share)는 회사의 ‘진짜 자산 가치’를 한 주당 얼마로 환산했는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주가가 싸다 비싸다를 판단할 때, BPS는 기초 체력 같은 기준이 됩니다. ✅ BPS의 정의BPS는 말 그대로 "한 주당 순자산(Book Value)"이 얼마인지 보여주는 값입니다. BPS=자기자본 ÷ 발행주식 수자기자본: 회사의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수한 ‘내 돈’(= 순자산 = 총자산 - 총부채)발행주식 수: 보통주는 기준으로 사용합니다 ✅ 쉽게 말하면?예를 들어 A회사의 자기자본이 1,000억 원, 발행한 주식이 1천만 주라면: BPS =1,000억 ÷ 1천만주=10,000원➡️ 이 말은, 이 회사의 주식 한 주가 장부상 10,000원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

투자 기초 2025.04.28

ROI란? – 투자 수익률의 대표 지표

투자 판단은 물론, 사업성과 평가, 마케팅 예산 운용까지 모든 ‘비용 대비 효과’를 따지는 데 유용한 지표인 투자한 금액 대비 얼마나 수익을 얻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ROI(Return on Investment) 투자 수익률'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투자 평가에서 정말 많이 쓰이는 지표인 만큼, 이런게 있구나라고 알고 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ROI의 정의ROI (Return on Investment)는투자한 금액 대비 얼마나 수익을 얻었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한마디로, "내가 투자한 돈 대비 얼마나 벌었냐?"를 보여주는 지표예요. ✅ ROI 공식ROI = (수익−투자비용 ÷ 투자비용)×100 100ROI=(투자비용수익−투자비용​)×100또는 간단히: ROI=순이익 ÷ 투자금..

투자 기초 2025.04.26

PEG란? – 피터 린치가 사랑한 가치+성장 지표

기업을 분석할 때엔 다양한 지표를 활용해서 꼼꼼하게 확인을 하는데요. 투자의 거장인 피터 린치는 'PEG (Price/Earnings to Growth Ratio)'라는 지표를 투자에 많이 활용했다고 합니다. PEG란 어떤 지표인지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PEG의 정의PEG (Price/Earnings to Growth Ratio)는 PER을 이익 성장률로 나눈 값입니다.PEG=PER ÷ EPS 성장률(%)​PER만 보면 현재 주가가 이익에 비해 비싼지 싼지 알 수 있지만,"성장률"까지 반영한 평가 지표가 PEG입니다. ✅ 예시로 쉽게 설명하면A 회사 PER: 20EPS 성장률: 10%PEG = 20 ÷ 10 = 2➡️ 성장률에 비해 비싸게 거래되는 걸 의미B 회사 PER: 15E..

투자 기초 2025.04.25

BIS란? – 은행의 체력을 보여주는 안전지표

실적 시즌이 시작되면서 주주들은 기대와 걱정을 품고 있습니다. 최근 국내에서는 주주환원율을 올리기 위해서 애쓰고 있는데요. 아직은 많이 아쉽지만 점차 나아지리라 기대해 봅니다. 특히나 은행이 주주환원에 적극적인 모습인데요. 하지만 주주환원을 하기 위해서는 외부 압력에도 튼튼하게 방어할 수 있는 자기 자본이 충분해야 합니다. 은행이 앞으로 얼마나 주주환원을 할 수 있을까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자기 자본비율, BIS Capital Adequacy Ratio)인데요. 오늘 이 지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BIS의 정식 명칭은?BIS 비율 (BIS Ratio)= 국제결제은행(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이 제시한은행의 자본 건전성을 측정하는..

투자 기초 2025.04.23

증거금 vs 예수금, 투자 초보도 쉽게 이해하자!

처음 주식이나 선물·옵션 투자를 하다 보면 헷갈리는 용어가 있죠. 그중 가장 많이 헷갈리는 것이 바로 ‘예수금’과 ‘증거금’입니다. 두 단어 모두 ‘투자할 수 있는 돈’과 관련되어 있지만, 의미와 쓰임은 꽤 다릅니다. 지금부터 초보자 눈높이에 맞춰 쉽게 설명드릴게요! ✅ 1. 예수금이란?예수금 = 내 계좌에 실제로 들어있는 돈쉽게 말해, 내가 증권사 계좌에 입금한 현금입니다.이 돈으로 주식을 사거나, 다른 금융 상품을 투자할 수 있어요.📌 예시:내가 증권사 계좌에 100만 원을 입금했어요.→ 이 100만 원이 예수금입니다. ✅ 2. 증거금이란?증거금 = ‘거래를 하기 위한 보증금’특히 **신용 거래(빚내서 투자)**나 선물·옵션 거래에서 자주 등장해요.내가 전체 금액을 다 내지 않고도 거래를 할 수..

투자 기초 2025.04.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