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투자 판단은 물론, 사업성과 평가, 마케팅 예산 운용까지 모든 ‘비용 대비 효과’를 따지는 데 유용한 지표인 투자한 금액 대비 얼마나 수익을 얻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ROI(Return on Investment) 투자 수익률'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투자 평가에서 정말 많이 쓰이는 지표인 만큼, 이런게 있구나라고 알고 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ROI의 정의
ROI (Return on Investment)는
투자한 금액 대비 얼마나 수익을 얻었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한마디로, "내가 투자한 돈 대비 얼마나 벌었냐?"를 보여주는 지표예요.
✅ ROI 공식
ROI = (수익−투자비용 ÷ 투자비용)×100 100
또는 간단히: ROI=순이익 ÷ 투자금액×100
✅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 A라는 프로젝트에 100만 원 투자
- 1년 뒤 150만 원 벌었다면 → 순이익 50만 원
ROI=50만 ÷ 100만×100=50%
➡️ 100만 원 투자해서 50% 수익을 낸 셈입니다.
✅ ROI가 왜 중요할까요?
이유 | 설명 |
투자 효율 평가 | 어디에 돈을 쓰는 게 더 효율적인지 판단 가능 |
프로젝트 비교 | ROI 높은 사업 = 더 매력적인 투자처 |
마케팅, 광고, 창업에도 활용 | 예: “이 광고에 100만 썼더니 300만 벌었음 → ROI 200%” |
728x90
✅ ROI의 한계점도 있습니다
한계 | 설명 |
시간 요소 없음 | 1년 걸린 수익이든, 10년 걸린 수익이든 동일하게 계산됨 😅 |
리스크 반영 X | 위험이 큰 투자라도 수익만 높으면 ROI도 높게 나옴 |
현금 흐름 무시 | 투자금 회수 시점, 비용 분산 등 고려되지 않음 |
➡️ 그래서 IRR, NPV 같은 고급 지표와 병행해서 보기도 합니다.
✅ 요약 정리
항목 | 내용 |
지표명 | ROI (투자수익률) |
공식 | (수익 - 투자비용) ÷ 투자비용 × 100 |
의미 | 투자 100원 했을 때 몇 원 벌었는지 비율 |
장점 | 간단하고 직관적 |
단점 | 시간, 리스크, 현금 흐름 고려 없음 |
활용 | 마케팅, 부동산, 스타트업, 광고, 경영 전략 전반 |
728x90
반응형
'투자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PBR(주가순자산비율)이란? – 주식 투자자를 위한 핵심 지표 (84) | 2025.04.29 |
---|---|
BPS란 무엇인가요? – 주당순자산의 개념과 활용법 (72) | 2025.04.28 |
PEG란? – 피터 린치가 사랑한 가치+성장 지표 (77) | 2025.04.25 |
BIS란? – 은행의 체력을 보여주는 안전지표 (39) | 2025.04.23 |
증거금 vs 예수금, 투자 초보도 쉽게 이해하자! (54)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