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제 170

하이퍼인플레이션이란? 돈이 하루 만에 휴지가 되는 순간

지난번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과 물가 하락, '디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높은 물가 상승은 국가와 국민에게 경제적 영향을 미치지만 물가 하락은 곧 경기침체를 뜻하기에 적당한 물가 상승은 필요하다고 설명드렸었는데요.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 경기 침체를 일으키는 물가 하락과 반대로 폭발적인 물가 상승 또한 경제를 붕괴시킬 수 있는데요. 이런 현상을 '하이퍼인플레이션'이라고 부릅니다.  지난 경제 역사에서 독일이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큰 고통을 겪은 바 있는데요. 이런 트라우마로 화폐를 과도하게 공급하는 것을 법적으로 중지했으나, 최근 트럼프 정부의 출범으로 국방비를 늘리라는 압박으로 중지했던 법안을 폐지하고 국방비를 늘리기 위한 통화공급 정책을 실시했는데요. 통화를 공급한다는 것은 경기를 부양하..

디플레이션이란? 물가가 떨어지면 좋은 걸까?

물가 상승이 있다면 물가 하락도 있겠죠?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 시기에 양적완화를 통해 너무나 많은 돈이 풀리고, 제로 금리로 엄청나게 대출 공급을 했죠. 게다가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전쟁과 미중 무역 갈등으로 글로벌 무역 공급망이 제한되면서 폭발적인 물가 상승이 일어났습니다. 이로 인해서 한국 포함, 많은 국가에서 물가 상승 고통을 받고 있는데요. 그렇다 보니 물가 하락을 바라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자산 가격도 상승하며 양극화가 심해지고 너무나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는데요. 물론 지금처럼 높은 물가, 폭발적인 자산 가격 상승은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물가상승이 있어야만 경제가 성장하고 우리 모두의 삶의 질이 좋아진다는 것을 알아야 하는데요. 그래서 물가 하락을 뜻하는 경제 용어..

인플레이션이란? 물가가 오르면 왜 문제가 될까?

제가 주변 지인들에게 투자 권하고,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을 할 때에 꼭 들어가는 경제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인플레이션'인데요. 물가는 지속적으로 오르고 화폐의 가치는 떨어지기 때문에 우리가 힘들게 일해서 번 돈을 지키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이라는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으로부터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하이퍼인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이해하기 쉽게 글을 정리했으니 유익한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인플레이션이란? 물가가 오르면 왜 문제가 될까? 📌 이전 글 보기: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올 때]👉 [링크 넣는 부분]뉴스에서 늘 듣게 되는 말,“인플레이션”그런데 인플레이션이 정확히 뭐죠?왜 물가가 오르면 경제가 힘들어질까요..

경기도 안 좋은데 물가까지 오르는 이상한 상황,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최근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전 세계가 혼란에 빠져있습니다. 100년 전, 스무트 홀리법이라는 관세 정책으로 대공황 경기 침체를 겪었던 역사가 있죠. 이번엔 물가까지 높은 상황에서 강도 높은 관세 정책을 내세웠습니다. 많은 분석가와 전문가들은 경기 침체를 우려하며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경기 침체를 말하는 '스태그네이션'과 물가 상승을 말하는 '인플레이션'의 합성어입니다. 오늘은 전문가들이 우려하는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인지 쉽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란?경기도 안 좋은데 물가까지 오르는 이상한 상황  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경제용어 중 하나,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경기는 침체인데, 물가는 계속 ..

양적완화와 양적긴축,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까?

지난 시간에는 양적긴축에 이어 양적완화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 두 가지는 시장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는데요. 이렇게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으로 엄청난 부를 이루는 사람이 생기는 반면, 다른 누구는 큰 손실을 입고는 합니다. 자본주의는 마치 한 명이 잃으면 다른 한 명은 얻는 제로섬 게임 같은 구조 같아 보이죠. 그러려면 이 두 가지가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둘 필요가 있겠죠?  그래서 오늘은 지난 시간에 알아보았던 양적완화와 양적긴축이 시장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양적완화와 양적긴축,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까?– 투자자 관점에서 쉽게 보기📌 이전 글 보기: [양적완화(QE)란? 쉽게 이해하는 중앙은행의 돈 푸는 정책]👉 [링크 넣는 부분]양적완화와 양적..

양적완화(QE)이 뭐예요? 쉽게 이해하는 중앙은행의 완화 정책

지난 시간에는 양적긴축(QT)에 대해서 소개드렸었죠. 내용에서는 양적완화라는 용어가 나오면서 비교를 했었는데요. 지난번 설명대로 쉽게 말해, 양적긴축과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이번에는 양적완화를 주제로 준비해 봤습니다.   📌 이전 글 보기: [양적긴축(QT)이 뭐예요? 쉽게 이해하는 중앙은행의 긴축 정책] 양적긴축(QT)이 뭐예요? 쉽게 이해하는 중앙은행의 긴축 정책요즘 뉴스나 경제 기사에서 "양적긴축(QT, Quantitative Tightening)"이라는 말을 자주 들어보셨을 거예요. 지난 FOMC 기자회견에서 연준의장 파월은 양적긴축 규모를 축소한다고 밝히기도 했는데요. 어thisshitishot.tistory.com  양적완화(QE)란?경제가 어려울 때, 정부와 중앙은행은 여러 정책을 씁니다...

양적긴축(QT)이 뭐예요? 쉽게 이해하는 중앙은행의 긴축 정책

요즘 뉴스나 경제 기사에서 "양적긴축(QT, Quantitative Tightening)"이라는 말을 자주 들어보셨을 거예요. 지난 FOMC 기자회견에서 연준의장 파월은 양적긴축 규모를 축소한다고 밝히기도 했는데요. 어려워 보이지만, 사실 핵심 개념만 잘 이해하면 충분히 쉽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양적긴축이란 무엇인지, 왜 하는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양적긴축이란?양적긴축(Quantitative Tightening, QT)은 중앙은행이 시중에 풀린 돈을 다시 회수하는 정책입니다.쉽게 말하면,"경제에 풀린 돈이 너무 많아서 물가가 오르니까, 그 돈을 다시 걷어들이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예시로 이해해 볼까요?과거에는 경기가 너무 안 좋아서 중앙은행이 돈을..

미국의 금융 규제법 글래스-스티걸 법이란?

우리나라의 저축 은행은 일반은행과 다르다는 내용을 지난번에 다뤘었는데요. 저도 금융에 대해 무지했을 때는 다소 충격적이었습니다. 간판에 은행이 있으니 다 똑같은 은행인 줄 알았거든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해당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면 유익한 정보가 되실 겁니다.  우리나라 저축은행과 일반은행은 다르다? 차이점과 구분에 대해서 알아보자우리나라 저축은행과 일반은행은 다르다는 것을 아시나요? 저는 금융 문맹이었을 때 이 내용을 알고 다소 충격했었는데요. 아시는 분들은 많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어떤 식으로 구분하thisshitishot.tistory.com 미국의 위기이자 전 세계의 위기였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라고도 불리는 위기를 보면 많은 교훈이 담겨 있는데요. 위에서 ..

우리나라 저축은행과 일반은행은 다르다? 차이점과 구분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리나라 저축은행과 일반은행은 다르다는 것을 아시나요? 저는 금융 문맹이었을 때 이 내용을 알고 다소 충격했었는데요. 아시는 분들은 많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어떤 식으로 구분하고 있고, 분리된 유래에 대해서 잘 알고 계시나요? 우리나라는 많은 아픈 역사를 가지고 있죠. 그중에 IMF 외환위기가 있습니다. 외환위기의 영향이 현대 사회에도 아직 묻어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저축은행과 일반은행이 분리된 유래의 배경엔 IMF 외환위기가 있습니다. 저축은행과 일반은행은 어떻게 분리 됐을까요? 지금부터 이해하기 쉽도록 잘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의 저축은행과 일반은행: 분리된 유래와 차이점한국의 금융 시스템에서 저축은행과 일반은행(시중은행)의 분리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금융 개혁 과정에서 중요..

한국판 공포지수 <VKOSPI>란 무엇일까?

지난번 제 블로그에서는 공포지수라 불리는 VIX에 대해서 다뤘었는데요. 나는 국내 시장만 투자하는데 외국 공포지수는 무슨 상관이냐? 하실 수도 있겠습니다. 그래도 VIX 공포지수는 S&P 500 옵션을 기반으로 하긴 하지만 글로벌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알아두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그래서 지난번 다룬 포스팅을 링크해 둘 테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공포지수가 무엇인지, 투자전략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data-og-description="지난 8월 5일 경기침체에 대한 불안감으로 주식 시장은 패닉 자체였던 날을 기억하시나요? 이날 빅스 공포지수는 60을 넘어서 65를 찍고 다시 내려왔는데요. 오늘 다뤄볼 주제 빅스 공포지수란 무" data-og-host="thisshitishot.t..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