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경제 지식

인플레이션이란? 물가가 오르면 왜 문제가 될까?

머니 iN 사이트 2025. 4. 10. 12:00
728x90
반응형

제가 주변 지인들에게 투자 권하고,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을 할 때에 꼭 들어가는 경제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인플레이션'인데요. 물가는 지속적으로 오르고 화폐의 가치는 떨어지기 때문에 우리가 힘들게 일해서 번 돈을 지키기 위해서는 인플레이션이라는 개념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으로부터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하이퍼인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이해하기 쉽게 글을 정리했으니 유익한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인플레이션이란? 물가가 오르면 왜 문제가 될까?

ⓒ Unsplash 의 Joachim Schnürle

반응형

 

📌 이전 글 보기: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올 때]

 

경기도 안 좋은데 물가까지 오르는 이상한 상황, 스태그플레이션이란?

최근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전 세계가 혼란에 빠져있습니다. 100년 전, 스무트 홀리법이라는 관세 정책으로 대공황 경기 침체를 겪었던 역사가 있죠. 이번엔 물가까지 높은 상황에서 강도 높은

thisshitishot.tistory.com

 


뉴스에서 늘 듣게 되는 말,
“인플레이션”

그런데 인플레이션이 정확히 뭐죠?
왜 물가가 오르면 경제가 힘들어질까요?

이번 글에서는
인플레이션의 개념부터 원인, 영향, 대응까지
아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Inflation)은
물가가 전반적으로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말해요.

쉽게 말해,
오늘 천 원 하던 물건이
1년 뒤에 천백 원이 되는 것.

📌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양이 줄어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즉,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죠.


✅ 왜 인플레이션이 생길까?

크게 두 가지 경우가 있어요:

 

1.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사고 싶은 사람이 많아서 가격이 오름

  • 소비·투자 증가
  • 소득 증가
  • 정부 재정 지출 증가 등

예: 경기가 좋아지면서 모두가 소비를 늘리면 가격이 올라요.


2.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이 올라서 가격이 오름

  • 원자재 가격 상승 (예: 유가상승)
  • 임금 상승
  • 공급망 문제

예: 밀가루값이 오르면 빵값도 오릅니다.


✅ 인플레이션, 왜 문제가 될까?

적당한 인플레이션은 경제에 긍정적일 수도 있어요.
하지만 과도한 인플레이션은 큰 문제입니다.

문제점 이유 설명
실질소득 감소 같은 월급으로 살 수 있는 게 줄어듬
소비 위축 물가 불안정 → 소비 심리 위축 가능성
기업 부담 증가 원자재·인건비 상승 → 수익성 악화
금리 인상 압박 중앙은행이 물가 잡으려 금리 인상 시도
728x90

📌 특히 물가가 급격하게 오르는데 소득은 그대로면
서민 부담이 커지고 사회적 불안정성까지 이어질 수 있어요.


✅ 중앙은행은 어떻게 대응할까?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
중앙은행(예: 한국은행, 미국 연준)은
대개 이런 식으로 대응합니다:

  • 기준금리 인상
    → 소비·대출 줄여서 수요 억제
  • 양적긴축(QT)
    → 시중 유동성 줄이기

📌 이런 정책은 인플레이션을 잡는 대신
경기를 둔화시킬 수도 있어 신중하게 사용돼요.


✅ 물가 상승률이 중요한 이유

경제 뉴스에서 “물가 상승률이 몇 %”라고 하죠?

그 이유는:

  • 중앙은행이 정책 결정을 할 때 물가 지표를 참고
  • 인플레이션 목표(예: 2%) 초과 여부에 따라
    금리나 유동성 조절이 달라집니다.

📌 일반 사람들에게는 소득 대비 체감 물가가 더 중요하게 느껴져요.


✅ 마무리 요약

  •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 + 돈 가치 하락 현상
  • 적당하면 괜찮지만, 과하면 경제 전체에 부담
  • 중앙은행은 금리 인상 등으로 조절하려고 함
  • 개인/가계도 소비 계획과 투자 전략을 조정할 필요가 있음

📌 다음 글 보기: [디플레이션이란? 물가가 떨어지면 오히려 위험한 이유]

 

디플레이션이란? 물가가 떨어지면 좋은 걸까?

물가 상승이 있다면 물가 하락도 있겠죠?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 시기에 양적완화를 통해 너무나 많은 돈이 풀리고, 제로 금리로 엄청나게 대출 공급을 했죠. 게다가 러시아 우크라이나

thisshitishot.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