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제/금융&경제 지식 136

우리나라 저축은행과 일반은행은 다르다? 차이점과 구분에 대해서 알아보자

우리나라 저축은행과 일반은행은 다르다는 것을 아시나요? 저는 금융 문맹이었을 때 이 내용을 알고 다소 충격했었는데요. 아시는 분들은 많으실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어떤 식으로 구분하고 있고, 분리된 유래에 대해서 잘 알고 계시나요? 우리나라는 많은 아픈 역사를 가지고 있죠. 그중에 IMF 외환위기가 있습니다. 외환위기의 영향이 현대 사회에도 아직 묻어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저축은행과 일반은행이 분리된 유래의 배경엔 IMF 외환위기가 있습니다. 저축은행과 일반은행은 어떻게 분리 됐을까요? 지금부터 이해하기 쉽도록 잘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의 저축은행과 일반은행: 분리된 유래와 차이점한국의 금융 시스템에서 저축은행과 일반은행(시중은행)의 분리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금융 개혁 과정에서 중요..

한국판 공포지수 <VKOSPI>란 무엇일까?

지난번 제 블로그에서는 공포지수라 불리는 VIX에 대해서 다뤘었는데요. 나는 국내 시장만 투자하는데 외국 공포지수는 무슨 상관이냐? 하실 수도 있겠습니다. 그래도 VIX 공포지수는 S&P 500 옵션을 기반으로 하긴 하지만 글로벌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알아두실 필요가 있겠습니다. 그래서 지난번 다룬 포스팅을 링크해 둘 테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공포지수가 무엇인지, 투자전략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data-og-description="지난 8월 5일 경기침체에 대한 불안감으로 주식 시장은 패닉 자체였던 날을 기억하시나요? 이날 빅스 공포지수는 60을 넘어서 65를 찍고 다시 내려왔는데요. 오늘 다뤄볼 주제 빅스 공포지수란 무" data-og-host="thisshitishot.t..

공매도 중앙점검 시스템이란?

드디어 공매도가 재개 됐습니다. 역대 최장 기간 금지 되었다가 재개 됐는데요. 첫날부터 소란스럽습니다. 미국 금융시장이 좋지 않은 상황에 관세 불확실성까지 겹치며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이전 공매도에 대해서는 불법 공매도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했는데요. 아래 기사에 따르면 정부가 공매도 전산화, 불법 공매도 처벌 강화 등 시장의 의구심을 해소하기 위해 준비해 왔다고 합니다.  과거에도 공매도 금지와 재개가 반복되긴 했지만 이번엔 다른 부분이 있다. 17개월 간 정부는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는 것을 비롯해 공매도 전산화, 불법 공매도 처벌 강화 등을 통해 시장의 의구심을 해소하기 위해 준비해왔다.제도적으로는 개인과 기관 간 주식 대여 조건과 대차 담보 비율 등이 동일해졌다. 인프라 측면에서는 중앙..

사망 보험금을 연금으로 전환한다? 연금 전환 옵션이란 무엇인가?

최근 연금개혁법안이 국회 통과 됐죠. 하지만 젊은 세대들은 받지도 못하고 납부만 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며 심한 반발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번 제 블로그에서는 국민 연금에 대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개인이 노후를 잘 준비하고자 연금 관련 포스팅을 자주 다뤘는데요. 아래 링크를 통해 주택 연금, 개인연금, 퇴직 연금 등 다양한 주제가 있으니 한번 읽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주택연금이란 무엇인지,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자주택연금 가입자 가운데 독신 여성의 비율이 독신 남성의 다섯 배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주택연금은 만 55세 이상의 소유자가 집을 담보로 제공하고 집에 계속 살면서 평생 연금 방식으로thisshitishot.tistory.com   노후준비! 연금저축 알아보기지난번 재테크를 설명으로 절세 혜택을..

횡재세란 무엇일까? 사례와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최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자 금융권이 분주해졌다. 금융권의 움직임도 분주해졌다. 이재명 당대표를 비롯한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1월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6대 은행장을 만나 “은행권이 소상공인 지원 방안 잘 이행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민주당은 지난해까지 은행권에 공공성을 주로 강조했다. 2023년 말에는 은행권을 대상으로 횡재세를 주장하기도 했다. 횡재세는 과도한 수익을 올린 금융사 등을 대상으로 법인세 이외에 추가로 부과하는 세금을 뜻한다. 총선 전 민주당은 “금융사에게 횡재세를 걷어 서민지원기금을 마련하자”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위 기사를 보시면 금융사에게 '횡재세'를 걷어 서민지원기금을 마련하자는 입장을 밝혔다는 내용..

지주회사와 모회사 그리고 자회사의 각각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경제 뉴스를 보다보면 '지주회사', '모회사', '자회사'라는 경제 용어들이 많이 눈에 띕니다. 생소한 경제 용어에 조금 복잡하게 느끼실 수도 있는데요. 어렵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런 간단한 용어들을 익혀놓으면 경제와 기업의 활동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수 있으실 겁니다. 오늘은 지주회사와 모회사, 그리고 자회사라는 경제 용어의 각각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볼 건데요. 간단하게 쉽게 정리해봤으니 정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지주회사, 자회사, 모회사 개념과 특징 정리1. 모회사(Parent Company)다른 회사를 지배하는 회사자회사의 지분을 일정 비율 이상 보유하고 있음반드시 지주회사일 필요는 없음 (자체 사업을 운영할 수도 있음)→ 예시:삼성전자(모회사) → 삼성디스플레이(자회사)현대자동차(..

바이백 블랙아웃(Buyback Blackout)이란?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자

미국 정부의 부채 한도 협상, 그리고 트럼프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 등 다양한 요소들이 현재 모이면서 미국 증시는 좀처럼 활력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문제에 '바이백 블랙아웃(Buyback Blackout)'  기간이라 주가 상승이 버거운 상황인데요. 바이백 블랙아웃이란 기업이 자사주 매입을 일시 중단해야 하는 기간을 뜻합니다. 투자자들이 기업의 주식을 사는 데에는 한계가 있죠. 그렇다 보니 기업의 자사주 매입까지 받쳐줘야 주가 하락 압력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사소해 보이지만 시장에서 이런 시스템이 있다는 것을 알면 투자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바이백 블랙아웃은 무엇인지,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주의할 점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바이백 ..

지분형 모기지란 무엇일까? 공유형 모기지와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금융위 "영끌 관행 잡을 것" 내 집마련 패러다임 바뀐다. 현재 주담대 받아 집 구입하지만 향후 주택금융公 등이 지분 투자 개인과 정부가 '주택 공동소유', 개인은 정부 지분만큼 월세 지불 개인이 집을 살 때 한국주택금융공사 등에서 지분 투자를 받는 대신 월세를 내는 ‘지분형 주택금융 제도’가 도입된다. 이를 통해 주택 매수 시 관행이 돼 버린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을 방지해 가계부채 문제를 잡겠다는 게 정부 구상이다.      위 기사에 따르면 정부에서 발표한 개인이 집을 살 때 주택 한국주택금융공사 등에서 지분 투자를 받는 대신 월세를 내는 ‘지분형 주택금융 제도’가 도입된다고 밝혔는데요. 취지는 영끌을 방지해 가계부채 문제를 잡겠다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정부가 공식적으로 '지분형 주택금융..

통화량 측정 지표 <M1, M2, M3>란 무엇일까?

지난번 시간에는 본원통화와 광의통화에 대한 개념, 그리고 통화량 측정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지난번 통화의 개념에 이어서 통화량 측정을 하는 지표 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지난번 글 내용에서도 M2, M3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비교도 해봤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좀 더 제대로 알아보고 비교해보는 시간 가져보려고 합니다. 본원통화와 광의통화의 개념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s://thisshitishot.tistory.com/entry/%EB%B3%B8%EC%9B%90%ED%86%B5%ED%99%94%EC%99%80-%EA%B4%91%EC%9D%98%ED%86%B5%ED%99%94%EB%9E%80-%EB%AC%B4%EC%97%87%EC%9D%BC%EA..

본원통화와 광의통화란 무엇일까? 차이점과 통화량 측정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자

국내에 돈이 얼마나 있을까요? 돈의 양이라 불리는 '통화량', 국내에 돈이 얼마나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지표가 있습니다. 바로 M1, M2, M3라 불리는 지표인데요. 먼저 통화량 지표를 알아보기 전에 본원통화와 광의통화에 대해서 이해하고 갈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왜 통화량을 측정할까요? 바로 통화량을 통해 경제 상황을 알아보고 물가·경기·금융시장을 조절하기 위해서인데요. 돈이 많아지면 인플레이션, 즉 물가 상승률이 올라갈 위험이 있기 때문이죠. 쉽게 말해, 금융 안전성을 위해서 파악이 필요한 것입니다.  오늘은 본원통화와 광의통화의 개념, 그리고 통화량 측정하는 까닭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 갖도록 하겠습니다.  본원통화 vs. 광의통화: 돈의 범위 차이 이해하기경제에서 "돈"이라고 하면, 모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