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제/금융&경제 지식 158

📈 레버리지 ETF와 인버스 ETF, 그리고 홍콩 증시에 상장된 삼성전자 ETF 출시 소식!

최근 홍콩 증시에 삼성전자를 기초자산으로 한 레버리지·인버스 ETF가 세계 최초로 상장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레버리지 ETF와 인버스 ETF란 정확히 무엇일까요?그리고 왜 이런 상품이 홍콩에서 먼저 출시되었을까요?오늘은 이 두 가지 개념과 함께, 삼성전자 관련 ETF 상장 소식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레버리지 ETF란?레버리지 ETF(Leverage ETF)는기초 지수의 수익률을 2배 또는 3배로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입니다.예를 들어, KOSPI200이 오늘 1% 상승했다면,KOSPI200 2배 레버리지 ETF는 약 2% 상승하게 됩니다.반대로 지수가 1% 하락했다면, ETF는 2% 하락하죠. ✅ 특징 요약단기적인 지수 상승에 적극적으..

🧾 보험계약마진(CSM)이 뭐길래? 지급여력비율 하락과의 연관성까지 한눈에 정리!

작년말 보험사 지급여력비율 206.7%…현대해상·롯데손보 등 권고치 겨우 맞춰 2023년부터 본격 도입된 IFRS 17 회계기준에 따라보험사의 수익 인식 방식과 재무 구조가 큰 폭으로 달라지고 있습니다.그 중심에 있는 개념이 바로 CSM(Contractual Service Margin, 보험계약마진)입니다.위의 기사처럼 최근엔 이 CSM과 관련된 이슈로 인해보험사들의 지급여력비율(K-ICS)이 하락했다는 뉴스도 나오고 있는데요,오늘은 이 보험계약마진이 무엇인지,그리고 왜 지급여력비율과 연결되는지를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CSM(Contractual Service Margin) 보험계약마진이란?보험사가 미래에 보험계약자에게 제공할 서비스(보장 등)에 대해 아직 수익으로 인식하지 않은 ..

현물과 선물의 가격 차이에서 수익을 얻다! 인덱스 차익거래란?

지난번 제 블로그에서는 베이시스 트레이드, 선물 거래 등 다양한 트레이딩 매매 방식에 대해서 설명드렸었는데요. 굳이 일반 투자자인 우리는 이런 매매 방식을 이용하기보다는 좋은 기업을 잘 선별해서 투자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그래도 굳이 이런 방식의 매매 방식을 다루는 방법은 이런 매매 방식들이 가끔 주가에 영향을 주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어느정도는 "이런게 있구나"의 느낌으로 알아가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인덱스 차익거래란?현물지수와 선물지수의 가격 차이를 이용해 무위험 수익을 노리는 전략인덱스 차익거래(Index Arbitrage)는 주식시장과 파생상품 시장의 불균형을 이용해 수익을 추구하는 고급 투자기법입니다.쉽게 말해, ‘같은 자산인데 가격이 다르게 매겨졌을 때 비싼 곳에서 팔고, 싼 곳에..

🧩 가교보험사란? 보험사가 망하면 생기는 ‘임시 보험사’ 이야기

MG손보, 5대 손보사로 계약이전…"가교보험사 활용"신규계약 중단하고 회사는 청산…고용승계는 극히 일부만소비자보호에 방점…"계약 보장내용 동일하게 유지" 요즘 국가 경제가 좋지 않다보니 부실했던 기업들에게서 좋지 않은 소식이 계속 나오는 요즘입니다. 최근 MG손해보험에서 청산하고, 가교보험사 설립 방식으로 추진한다는 소식이 전해왔는데요. 보험사가 망하면 가입한 고객들의 보험은 어떻게 되는지와 가교보험사가 무엇인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보험에 가입해 놓고도 "혹시 보험사가 망하면 어떡하지?"라는 걱정을 해본 적 있으신가요?그럴 때 등장하는 제도가 바로 가교보험사입니다. 이름도 생소한 이 개념, 오늘은 아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 가교보험사란?가교보험사는 쉽게 말해,부실한 보..

자사주 매입 프로그램, VWAP와 TWAP에 대해서 쉽게 이해하기

기업이 자사주를 매입할 때 단순히 '싸게 많이 사자'는 방식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매입하려면 전략적인 매매가 필요하죠. 이때 활용되는 대표적인 알고리즘이 VWAP와 TWAP입니다. 자사주 매입이란?자사주 매입은 기업이 자신의 주식을 시장에서 직접 사들이는 것을 말합니다. 주가를 안정시키거나, 주주가치를 제고하거나, 잉여 현금을 활용하는 수단으로 쓰입니다. 그런데 자칫 무리하게 사들이면 시장에 충격을 주거나 주가가 급등할 수 있기 때문에, 정교한 매매 전략이 필요합니다. VWAP와 TWAP는 무엇일까?1. TWAP (Time-Weighted Average Price)뜻: 시간 가중 평균 가격어떻게 작동하나?TWAP는 정해진 시간 동안 일정한 간격으로 같은 금액..

급격한 환율 하락! 왜? 외부에서 거래되는 환시장, NDF 역외선물환이란?

이번 연휴 기간 동안 평화로운 가정의 날을 보내는 우리와 달리 환율 시장은 아주 난리였는데요. 그 영향으로 꽤 오래 지속되던 1400원대 환율이 1300원대로 떨어졌습니다. 그 이유는 미국과 중국이 무역 협상 가능성이 재기되며 대만 달러가 강세를 띄며 원화도 영향을 미쳤는데요. 다양한 분석이 있습니다. 결국 정확한 이유는 모르죠. 그만큼 환율 시장은 예상할 수 없는 영역입니다. 이렇게 환율 변동성이 확대 됐을 때, 너도나도 환전하려는 수요로 증권사에서 불철주야 정신없었다고 하는데요. 휴무일의 환시장은 NDF, 역외선물환이라 불리는 시장에서 환전이 이루어집니다. 그래서 오늘은 NDF, 역외선물환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개념도 알아보면서 우리가 주의할 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Basis Trade란? 쉽게 이해하기

최근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엄청난 상승을 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90일 유예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국채 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작용하여 움직이는데요. 국채 금리 상승한 이유에 대해 다양한 분석이 나오는데, 그중에 베이시스 트레이드 청산했다는 분석이 가장 큰 힘을 받고 있습니다. 베이시스 트레이드란 무엇일까요? 금융 시장에는 다양한 거래 전략이 존재하는데요, 그중에서도 Basis Trade(베이시스 트레이드)는 선물과 현물 간의 가격 차이를 이용한 거래 전략입니다. 조금 어려워 보이지만, 하나씩 쉽게 풀어볼게요! 기본 개념: Basis(베이시스)란?베이시스(Basis)는 아래와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Basis = 현물 가격 - 선물 가격예를 들어,지금 금 1온스의 현물 가격이 2,000달러이..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이란?현대판 실크로드, 기회인가 함정인가?

최근 뉴스에서 자주 들리는 “일대일로(一帶一路, Belt and Road Initiative)”,도대체 이게 무슨 정책일까요? 🧭 한눈에 보는 일대일로중국이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까지 연결하는 초대형 인프라 개발 프로젝트 의미 그대로 풀이하면?일대(一帶): 육상 실크로드 (육로 연결)일로(一路): 해상 실크로드 (해상 연결)즉, 육상 + 해상 루트를 통해 무역, 물류, 에너지망을 확장하겠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 주요 목표는?중국과 주변국, 유럽·아프리카까지 연결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 인프라 건설자유무역 확대 + 에너지 공급망 안정중국 중심의 국제 경제 질서 구축👉 쉽게 말해“중국판 글로벌 네트워크 만들기 + 경제적 영향력 넓히기” 🛤️ 왜 시작했을까?2013년 시진핑 주석이 공식 제..

현실보다 더 큰 연기, 정치 속 ‘진짜 이야기’는 따로 있다!

뉴스를 보다 보면 이런 생각 들지 않으세요?“갑자기 이 뉴스가 왜 나왔지?”“정작 중요한 이슈는 쏙 들어갔네…”바로 이런 상황을 설명할 수 있는 정치·언론 용어가 있습니다.바로 ‘웻더독(Wag the Dog)’입니다. 🐕 웻더독(Wag the Dog)이란?본질을 감추기 위해, 다른 이슈나 이벤트로 대중의 관심을 돌리는 전략을 말합니다.원래 표현은“꼬리가 개를 흔든다(Wag the dog)”👉 주객이 전도된 상황을 풍자하는 말이에요. 🎥 어원은 영화에서 시작!1997년 개봉한 영화 🎬 〈Wag the Dog〉 에서 유래했습니다.줄거리는?미국 대통령이 성추문에 휘말리자,이를 덮기 위해 가짜 전쟁을 만든다!할리우드 감독을 불러 전쟁 장면을 연출하고,언론을 조작해 국민들을 속이는 이야기🔑 이 영화에..

우리나라는 ‘대외순채권국’?개념부터 의미까지 쉽게 정리!

최근 뉴스에서 “한국, 20년 연속 대외순채권국 유지”라는 기사를 보셨나요?‘순채권국’이라는 말이 조금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경제의 ‘체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랍니다.그렇다면 대외순채권국이란 무엇일까요? 🔍 대외순채권국이란?다른 나라에 빌려준 돈(채권)이,다른 나라로부터 빌린 돈(채무) 보다 많은 나라즉, 국가 전체로 보면 ‘빌려준 게 더 많은 상태’를 의미합니다.개인으로 치면?→ 남에게 빌려준 돈이 많고,→ 빚은 별로 없는 상태!그래서 **“대외순채권국”은 경제가 건강한 나라”**로 평가받습니다. 🧾 공식 개념으로는?대외순채권(Net International Investment Position, NIIP) =해외에 대한 채권 - 해외로부터의 채무채권: 해외에 투자한 돈, 외국에 빌려준 돈..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