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제/금융&경제 지식 175

📘 채권 듀레이션(Duration)이 뭐길래 이렇게 중요할까?

채권 투자에 입문하거나 공부를 하다 보면 꼭 마주치게 되는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듀레이션(Duration)"입니다. 처음엔 생소할 수 있지만, 금리가 오르락내리락하는 지금 같은 시대엔 꼭 이해해야 할 개념이기도 합니다. 🔍 듀레이션이란?한 줄로 정의하자면,듀레이션은 금리 변화에 따른 채권 가격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조금 더 자세히 말하면, 듀레이션은 두 가지 의미를 동시에 갖고 있습니다.회수 기간의 평균→ 현금흐름(이자와 원금)을 현재가치로 환산했을 때, 언제 돈을 회수하게 되는지를 평균적으로 보여주는 시점입니다.→ 이를 Macauley 듀레이션이라고 합니다.가격 민감도→ 금리가 1%p 변할 때 채권 가격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이는 Modified 듀레이션이라고 불립니다. 실..

📈 황제주 등극! 삼양식품과 효성중공업의 공통점은?

최근 한국 증시에서는 ‘황제주’라는 이름을 다시 주목하게 하는 이슈가 등장했습니다.바로 삼양식품과 효성중공업이 주가 100만 원을 돌파하며 황제주 반열에 올랐기 때문입니다.황제주는 어떤 의미를 갖는지, 그리고 이 기업들이 왜 그렇게 평가받고 있는지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황제주란?‘황제주’는 말 그대로 주가가 황제처럼 높은 주식을 의미합니다.1주당 주가가 100만 원을 넘는 상장사를 지칭하며, 한국 주식시장 전체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로 희귀합니다.고가주라는 점 외에도, 기업의 지속적인 실적 성장·독점적 위치·희소성 등이 반영된 경우가 많습니다. 🔥 삼양식품 – 불닭의 세계적 질주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을 앞세워 글로벌 시장에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2024년 기준, 전체 매출의 70..

📈 CTA란 무엇이고, 나의 투자 전략에 어떻게 활용할까?

투자 세계에는 수많은 전략과 전문가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CTA(Commodity Trading Advisor)라는 전문 투자자가 요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오늘은 CTA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들의 전략을 우리 개인 투자자가 어떻게 참고할 수 있는지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1️⃣ CTA(Commodity Trading Advisor)란?CTA는 선물, 옵션 등 파생상품 시장에서 투자 자문과 운용을 담당하는 전문가나 회사를 말합니다.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에 등록된 이들은 트렌드 분석과 자동매매 시스템을 활용해, 다양한 원자재·금리·통화 등에 투자하죠. CTA의 주요 특징트렌드 팔로잉 전략 활용: 시장의 가격 추세를 따라가며 수익 창출다양한 자산군에 분산 투자: 원자재, 통화, 금리, 주가지..

CPTTP가 뭐야? 🇰🇷 한국이 CPTPP에 가입하면? 산업별 영향과 장단점 한눈에 정리

요즘 뉴스나 경제 관련 기사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있습니다.바로 CPTPP,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입니다.벌써 세계 11개국이 참여하고 있고, 글로벌 무역의 지형을 바꾸고 있다는 평가도 나오죠.그렇다면 만약 한국이 CPTPP에 가입한다면,우리 기업들, 소비자들, 그리고 산업계엔 어떤 변화가 찾아올까요? 🌏 CPTPP란 무엇인가?CPTPP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11개국이 모여 만든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입니다.기존 미국이 주도하던 TPP에서 미국이 빠지고, 일본 중심으로 2018년에 재출범했어요.참여국: 일본,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멕시코, 베트남, 말레이시아, 칠레 등 11개국전체 GDP 비중: 세계 GDP의 약 13%핵심 내용:관세 철폐 및 감축 (95% 이상 품목)투자·서..

🌍 탄소배출권이 뭐길래 기업에 이익이 되기도, 손해가 되기도 할까?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써클(Circle)이 운영하는 USDC(미국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가 실제 탄소배출권 거래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면서, 디지털 자산이 세계적인 온실가스 감축 시장과 접점을 넓히고 있다. 이는 실물자산들의 토큰화와 밀접 관련이 있다.이는 실물 자산들을 블록체인 상에서 디지털 토큰 형태로 전환하는 ‘토큰화(tokenization)’ 기술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25일 블록체인업계에 따르면 토큰화는 실제 존재하는 자산(예: 탄소배출권, 미술품, 금 등)을 블록체인 상에 고유한 디지털 단위로 변환해 거래 가능하도록 만드는 기술로, 자산의 유동성과 접근성을 높이고 분산 원장 기반의 투명한 정산 및 추적을 가능케 한다. USDC는 이러한 토큰화된 탄소배출권과 결합해 디지털 환경에서도 신뢰..

🧐 금리인하요구권이 뭐예요?

금리인하요구권으로 이자 부담 줄이려면 소득증가·신용 상승 등 상환능력 개선증명 땐 은행에 권리 행사 가능신청 뒤 '거절' 당해도 금리·신용점수 영향 無기준금리 떨어지자 5대銀 금리인하 신청↑ 수용률은 25% 수준경기 둔화와 고물가가 여전한 상황에서 지출 관리가 쉽지 않은 시기다. 빚을 낸 사람들이라면 원리금을 상환하면서 생활비도 관리하는 부담이 만만치 않다. 이런 가운데 금리 하락 국면에서 ‘어떻게 하면 이자 부담을 조금이라도 줄일까’ 고민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신청이 늘고 있는 금리인하요구권을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 “금리 좀 내려주세요!” – 내가 직접 요구할 수 있다고?요즘처럼 금리 한 푼이 아쉬운 시대,혹시 ‘금리인하요구권’이라는 제도를 들어보셨나요?신용카드..

📉 주가수익스와프(PRS), 기업이 ‘보이지 않게’ 주식을 파는 법

대기업이 활발하게 활용하던 주가수익스와프(PRS·price return swap) 자금 조달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PRS는 자회사 지분을 매각하면서 암묵적으로 되사올 것을 약속하는 식으로 자금을 끌어오는 파생상품 계약이다. 회계상 부채로 잡히지 않아 신종 자금 조달 수단으로 급부상했다. 하지만 회계 감사인이 기업에 자금을 대주는 증권사의 PRS 계약을 대출로 인식해야 한다고 해석하면서 급제동이 걸릴 조짐이다. 요즘 기업들이 ‘주식을 판다’고 하면 꼭 실제 주식을 팔아야 할까요?놀랍게도 주식을 그대로 갖고 있으면서도, 주가가 오르면 돈을 받고 떨어지면 돈을 내는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판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게 바로 오늘 이야기할 주가수익스와프(PRS)입니다. 위 기사에 따..

⚡ESS(Energy Storage System)이란 무엇일까?

최근 정부에서는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는데요.풍력 발전 에너지와 태양광 발전 에너지 같은 경우는 탄소배출이 없는 에너지를 만드는 장점이 있지만,날씨에 영향 받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그리고 에너지를 저장하는 수단이 필요한데요.배터리라고 이해하는게 쉬울 듯 합니다.과연 ESS(Energy Storage System)이란 무엇일까요? ⚡ ESS란?ESS = Energy Storage System에너지 저장 장치를 뜻해요.말 그대로,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쓰는 시스템이에요. 💡 왜 필요한가요?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는 특징이 있어요:☀️ 태양은 밤에 뜨지 않고,🌬 바람은 계속 불지 않아요.즉, 생산이 일정하지 않고 불안정해요.이런 전기를 그냥 쓰면 전력 품질이 떨어지고, 정전..

⚡작지만 강하다? SMR이 바꾸는 미래 에너지 지도

기후위기, 탄소중립, 전력난, 그리고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위기까지.이제 에너지는 단순한 자원이 아니라 ‘국가의 안보’이자 ‘산업의 미래’가 되었습니다.이런 가운데 전 세계가 주목하는 기술이 있죠. 바로 SMR(Small Modular Reactor),즉, 소형 모듈형 원자로입니다. 🔍 SMR이란?SMR = Small Modular Reactor기존 원전보다 훨씬 작고, 모듈 형태로 공장에서 제작해 현장에서 조립만 하는 미래형 원전입니다.전통적인 원전은 건설에만 수년이 걸리고, 안전성이나 지역 반발 등 사회적 부담이 컸지만,SMR은 작고 안전하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어요. ✅ SMR의 주요 장점항목설명🏭 모듈 제작공장에서 제작 후 현장 조립 → 건설기간 단축🔒 높은 ..

🇺🇸 미국과 이스라엘, 도대체 무슨 사이야?

🇺🇸 미국과 이스라엘, 도대체 무슨 사이야?“도와주는 걸 넘어서 거의 혈맹 수준인데?” 중동에서 분쟁이 터지면 항상 등장하는 조합이 있습니다.이스라엘이 전면에 나서고, 그 뒤에는 어김없이 미국이 있습니다.폭격이 오가고, 전 세계가 비판을 쏟아도, 미국은 “이스라엘의 자위권을 존중한다”고 말합니다.심지어 수십억 달러의 무기를 건넨 것도 모자라, 국제회의에선 이스라엘을 대신해 방패 역할도 서슴지 않죠.이쯤 되면 이런 질문이 나옵니다:“미국은 왜 이스라엘을 이렇게까지 챙겨줄까?” 1. 🤝 과거에서 시작된 운명 공동체이 관계의 뿌리는 2차 세계대전 이후로 거슬러 올라갑니다.600만 유대인이 학살당한 홀로코스트, 그 비극은 세계에 커다란 충격을 안겼고,미국은 이스라엘 건국(1948)을 적극 지지하면서 도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