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융업계에서 자주 들리는 용어, IMA 종합투자계좌.
처음 들으면 낯설지만, 알고 보면 꽤 유용한 "투자의 만능 계좌"입니다.
오늘은 이 IMA 계좌가 무엇인지, 왜 주목받고 있는지, 쉽게 풀어 설명드릴게요!
IMA란?
IMA는 Integrated Managed Account의 줄임말로,
‘통합 관리형 투자계좌’, 즉 다양한 금융상품을 하나의 계좌에서 관리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쉽게 말해,
주식, 펀드, 예금, 채권 등 여러 금융 상품을 하나의 계좌 안에서 사고팔 수 있는 멀티 계좌라고 보시면 됩니다.

📌 IMA의 핵심 특징
1. 다양한 자산을 한 번에 관리
보통 주식은 증권계좌, 예금은 은행계좌, 펀드는 펀드계좌 등으로 나뉘어 있죠?
IMA는 이런 구분 없이 한 계좌에서 여러 자산을 통합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전문가가 자산을 알아서 운용
IMA 계좌는 보통 투자 전문가나 AI 알고리즘이 고객 성향에 맞게 자산을 운용합니다.
예: 고객이 ‘안정형 투자자’라면 위험이 낮은 채권 중심으로, ‘공격형 투자자’라면 주식 중심으로 운용됩니다.
3. 맞춤형 자산배분
각 고객의 투자 성향, 자산 규모, 투자 목적에 따라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제공합니다.
자동차 네비처럼, 투자도 개인에 맞춰 설계된다는 거죠.
4. 수수료의 투명성
기존에는 자산운용 수수료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도 했는데,
IMA는 운용보수와 수수료 구조를 비교적 투명하게 제공합니다.
🌱 누가 이용하면 좋을까?
- 여러 금융상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싶은 분
-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투자하고 싶은 분
- 분산투자를 하고 싶은데 귀찮거나 어렵게 느끼는 분
- 초보 투자자지만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분
🔎 예시: 은행/증권사 IMA 서비스
현재 IMA 서비스는 일부 은행과 증권사에서 시범적으로 제공 중이며,
향후 점차 확대될 예정입니다.
예를 들어,
- OO은행: 고객 성향 진단 후 로보어드바이저가 맞춤형 투자 운용
- XX증권: 펀드+ETF+채권을 통합해 자동 리밸런싱 운용
📝 마무리 정리
항목 | IMA 종합투자계좌 |
정의 | 통합형 자산관리 계좌 |
운용방식 | 전문가 또는 알고리즘 기반 |
장점 | 한 계좌로 자산 통합 관리, 맞춤형 운용, 수수료 투명 |
대상 | 투자 초보~중급, 자산관리 필요 고객 |
📣 한 줄 요약
IMA는 '내 투자 계좌의 종합병원' 같은 존재입니다.
여러 금융상품을 한 곳에서 효율적으로, 그리고 내게 맞게 관리하고 싶다면 IMA를 눈여겨보세요!
🏦 IMA 사업 진출을 준비 중인 주요 증권사
1. 미래에셋증권
- 자기자본: 약 9.8조 원
- 특징: 국내 최대 규모의 자기자본을 보유한 증권사로, IMA 도입을 위한 준비를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2. 한국투자증권
- 자기자본: 약 8.9조 원
- 특징: 발행어음 사업을 성공적으로 운영 중이며, 이를 바탕으로 IMA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획입니다.
3. NH투자증권
- 자기자본: 약 7.4조 원
- 특징: 현재는 IMA 자격 요건인 8조 원에 미치지 못하지만, 자본 확충을 통해 요건을 충족시키려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4. 삼성증권
- 자기자본: 약 6.9조 원
- 특징: 발행어음 사업에는 참여하지 않고 있으나, IMA 도입을 위한 내부 검토를 진행 중입니다.
📌 참고사항
- IMA 도입 시기: 금융위원회는 2025년 3분기 중 IMA 사업자 신청을 받아 연내에 첫 사업자를 지정할 계획입니다.
- 자격 요건: 자기자본 8조 원 이상의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만 IMA 사업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IMA 계좌를 통해 다양한 금융상품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됩니다. 새로운 정보가 나오면 계속해서 업데이트해드리겠습니다.
'경제 > 금융&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터족과 니트족,요즘 청년들이 걸어가는 길은? (67) | 2025.04.16 |
---|---|
관세와 비관세, 무역의 문턱을 이해해보자! (68) | 2025.04.15 |
하이퍼인플레이션이란? 돈이 하루 만에 휴지가 되는 순간 (36) | 2025.04.12 |
디플레이션이란? 물가가 떨어지면 좋은 걸까? (60) | 2025.04.11 |
인플레이션이란? 물가가 오르면 왜 문제가 될까? (43)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