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경제 지식

프리터족과 니트족,요즘 청년들이 걸어가는 길은?

머니 iN 사이트 2025. 4. 16. 00:01
728x90
반응형

청년들 사이에서 “정규직만이 정답일까?”라는 질문이 많아지고 있는 요즘,
사회 구조와 개인의 가치관 변화에 따라 등장한 두 가지 새로운 삶의 형태가 있습니다.
바로 프리터족니트족입니다.

 

 

프리터족(Freeter)이란?

프리터족

정규직이 아닌 비정규직, 아르바이트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청년층을 말합니다.

일본어 ‘프리터(Freeter)’에서 유래한 말로,
‘Free(자유로운) + Arbeiter(노동자)’의 합성어입니다.

 

ⓒ Unsplash 의 Papaioannou Kostas

반응형

 

📌 특징

  • 정규직 취업 대신 자유롭게 일하면서 생계를 이어감
  • 특정한 직업이나 커리어보다는 개인의 시간과 가치 중심의 삶을 선호
  • 아르바이트, 프리랜서, 단기 계약직 등으로 일함

🎯 장점

  • 시간의 자유, 스트레스 적은 일환경
  • 다양한 경험 가능

⚠️ 단점

  • 안정적인 수입이나 사회보장 부족
  • 장기적인 커리어 개발에 어려움

🛋 니트족(NEET)이란?

니트족

일하지 않고, 학교에도 다니지 않으며, 직업훈련도 받지 않는 청년층을 뜻합니다.

NEET는 영어 약자로,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즉, 교육도, 고용도, 훈련도 받고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 특징

  • 아예 경제활동에서 이탈한 상태
  • 학업도 중단하고, 일도 하지 않으며, 구직 활동도 하지 않음
  • 스스로 선택한 경우도 있지만, 사회적 요인(취업난, 정신적 어려움 등)도 큼

🎯 문제점

  • 경제적 자립 불가능 → 가정 의존도 증가
  • 사회 고립 → 우울감, 사회불안 등 심리적 문제 동반
  • 장기화되면 사회적 손실 증가

🔍 프리터족 vs 니트족 비교표

항목 프리터족 니트족
경제활동 비정규직/임시직 등으로 활동 경제활동 없음
선택성 자발적 선택도 있음 자발적 + 비자발적(사회적 이유 등)
삶의 방향 자유로운 일과 삶의 균형 추구 방향 상실 or 일시적 휴식 상태
사회문제화 고용불안, 복지 사각지대 가능성 고립, 국가 생산성 저하
728x90

 

🌱 왜 이런 현상이 생겼을까?

  1. 청년 고용 불안정
    → 취업 경쟁 심화, 비정규직 증가
  2. 삶에 대한 가치관 변화
    → ‘돈보다 시간’, ‘일보다 자유’를 추구하는 MZ세대
  3. 사회적 지원 부족
    → 구직자, 미취업자를 위한 실질적 훈련·지원 미흡

✅ 마무리 한 줄 요약

프리터족은 ‘자유로운 일’을 선택한 청년,
니트족은 ‘일도 학업도 하지 않는 상태’의 청년층입니다.

 

두 현상 모두 현대 사회의 청년들이 겪는 고용 불안과 가치관 변화를 보여주는 신호탄이에요.
프리터와 니트라는 새로운 삶의 형태가 단순한 '문제'가 아닌
‘변화의 흐름’으로 보일 수도 있는 지금,
우리는 그 속에서 어떤 균형점을 찾아야 할까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