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를 보다 보면 이런 생각 들지 않으세요?
“갑자기 이 뉴스가 왜 나왔지?”
“정작 중요한 이슈는 쏙 들어갔네…”
바로 이런 상황을 설명할 수 있는 정치·언론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웻더독(Wag the Dog)’입니다.
🐕 웻더독(Wag the Dog)이란?
본질을 감추기 위해, 다른 이슈나 이벤트로 대중의 관심을 돌리는 전략을 말합니다.
원래 표현은
“꼬리가 개를 흔든다(Wag the dog)”
👉 주객이 전도된 상황을 풍자하는 말이에요.
🎥 어원은 영화에서 시작!
1997년 개봉한 영화 🎬 〈Wag the Dog〉 에서 유래했습니다.
줄거리는?
- 미국 대통령이 성추문에 휘말리자,
- 이를 덮기 위해 가짜 전쟁을 만든다!
- 할리우드 감독을 불러 전쟁 장면을 연출하고,
- 언론을 조작해 국민들을 속이는 이야기
🔑 이 영화에서처럼
진짜 문제를 덮기 위해 ‘가짜 이슈’를 만드는 행위를
정치·언론에서 ‘웻더독’이라고 부르기 시작했어요.
🧠 예를 들어 볼까요?
✔️ 예시 1. 정치 스캔들 → 안보 위기 뉴스
- 어떤 정치인이 비리 의혹에 휩싸였는데
- 갑자기 “북한 미사일 긴급 속보!”
→ 국민 관심은 비리에서 ‘북한’으로 전환!
✔️ 예시 2. 선거 전 대형 이벤트
- 선거를 앞두고 애국심 자극하는 군사 행동이나
- 국민감정 자극하는 외교 갈등 이슈 부각
→ 여론을 유리하게 끌어가기 위한 의도일 수도 있음
📰 요즘 뉴스에서 이런 느낌…?
최근에도 국내외에서 ‘웻더독’ 의심 사례가 종종 거론됩니다.
- 선거 직전, 정치권 스캔들이 터졌을 때
- 특정 뉴스가 과도하게 부각되고,
- 기존 이슈가 갑자기 사라지는 상황
💡 이럴 때 “혹시 웻더독?”이라는 분석이 나오곤 하죠.
✅ 웻더독의 핵심 포인트 요약
항목 | 내용 |
의미 | 본질을 감추고 다른 이슈로 관심 돌리기 |
어원 | 영화 Wag the Dog (1997) |
정치에서 사용 | 스캔들, 비리, 여론 악화 때 의도적으로 활용 |
문제점 | 대중을 기만, 민주주의 왜곡 위험 있음 |
감별법 | “왜 갑자기 이 뉴스가 나왔을까?”를 스스로 의심해보기 |
✍️ 마무리 한 줄 요약
웻더독은 정치인이 위기를 덮기 위해 '관심 돌리기용 뉴스'를 내세우는 전략입니다.
중요한 건, 우리도 진짜 이슈가 뭔지 꿰뚫어 볼 눈을 가지는 것!
금융 시장에서도 자주 표현되는 용어인데요. 주식 시장에서는 어떤 상황에 이런 표현을 쓸까요?
📉 주식시장의 웻더독? 선물이 현물을 흔드는 이상한 풍경
“원래는 개가 꼬리를 흔들어야 정상인데,
왜 꼬리가 개를 흔들고 있을까?”
이 비유는 선물 시장이 현물 시장을 주도하는 상황을 설명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현물 vs 선물 시장
- 현물시장: 실제 주식을 사고파는 시장 (코스피, 코스닥 등)
- 선물시장: 미래 가격을 예측해 거래하는 파생시장
👉 원래는 현물 가격이 중심이고,
선물 가격은 그에 따라 움직이는 게 정상입니다.
🐕 그런데… 가끔 반대가 일어나요
선물시장에서 큰 물량의 매수·매도가 들어오면,
이를 본 프로그램 매매나 알고리즘이 반응하여
현물시장까지 끌고 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처럼 선물이 현물을 흔드는 상황을
경제·금융에서는 "웻더독 현상"이라고 부릅니다.
🔍 왜 문제일까?
- 실물 가치보다 투기성 흐름에 시장이 좌우됨
- 외국인·기관의 의도적인 선물 매매가
→ 개인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유도할 수 있음 - 시장 왜곡과 비이성적 흐름이 나타나기 쉬움
✅ 한 줄 요약
“주가를 따라가야 할 선물이, 오히려 주가를 흔들 때”,
그게 바로 주식 시장 속 웻더독 현상입니다.
'경제 > 금융&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sis Trade란? 쉽게 이해하기 (3) | 2025.04.20 |
---|---|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이란?현대판 실크로드, 기회인가 함정인가? (31) | 2025.04.19 |
우리나라는 ‘대외순채권국’?개념부터 의미까지 쉽게 정리! (53) | 2025.04.17 |
보완적 레버리지 비율(SLR)이란? – 쉽게 이해하는 은행 규제 이야기 (50) | 2025.04.16 |
프리터족과 니트족,요즘 청년들이 걸어가는 길은? (67)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