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제/금융&경제 지식 148

통화량 측정 지표 <M1, M2, M3>란 무엇일까?

지난번 시간에는 본원통화와 광의통화에 대한 개념, 그리고 통화량 측정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지난번 통화의 개념에 이어서 통화량 측정을 하는 지표 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지난번 글 내용에서도 M2, M3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비교도 해봤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좀 더 제대로 알아보고 비교해보는 시간 가져보려고 합니다. 본원통화와 광의통화의 개념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s://thisshitishot.tistory.com/entry/%EB%B3%B8%EC%9B%90%ED%86%B5%ED%99%94%EC%99%80-%EA%B4%91%EC%9D%98%ED%86%B5%ED%99%94%EB%9E%80-%EB%AC%B4%EC%97%87%EC%9D%BC%EA..

본원통화와 광의통화란 무엇일까? 차이점과 통화량 측정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자

국내에 돈이 얼마나 있을까요? 돈의 양이라 불리는 '통화량', 국내에 돈이 얼마나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지표가 있습니다. 바로 M1, M2, M3라 불리는 지표인데요. 먼저 통화량 지표를 알아보기 전에 본원통화와 광의통화에 대해서 이해하고 갈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왜 통화량을 측정할까요? 바로 통화량을 통해 경제 상황을 알아보고 물가·경기·금융시장을 조절하기 위해서인데요. 돈이 많아지면 인플레이션, 즉 물가 상승률이 올라갈 위험이 있기 때문이죠. 쉽게 말해, 금융 안전성을 위해서 파악이 필요한 것입니다.  오늘은 본원통화와 광의통화의 개념, 그리고 통화량 측정하는 까닭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 갖도록 하겠습니다.  본원통화 vs. 광의통화: 돈의 범위 차이 이해하기경제에서 "돈"이라고 하면, 모든..

SEP 경제전망요약이란 무엇일까?

최근 3월의 FOMC가 발표 됐습니다. 점도표와 SEP라 불리는 경제전망요약에 대해서도 발표 됐는데요. 점도표는 지난번 제 블로그에서 다룬 적이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참고하시면 될 것 같고요.  미래 금리 전망을 한눈에 보는 지표, '점도표'에 대해서 알아보자지난주 발표된 경제 지표들로 이제는 경기 침체로 들어선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감이 커지고 있습니다.이제 큰 이벤트를 앞둔 FOMC 발표가 남았는데요. 금리 인하는 확실해진 상황에서 얼마만큼thisshitishot.tistory.com 오늘 알아볼 주제는 SEP라 불리는 연준의 경제전망요약입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연준의 SEP 발표를 통해 투자 전략을 세우기도 하는데요. 요즘 트럼프 2기 정부의 출범으로 경제 상황이 매우 불확실해졌습니다. 이로..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란 무엇이며 장단점은 뭐가 있을까?

이번에 국민연금 개혁안이 통과 됐습니다. 개혁안 내용은 내는 돈 (보험료율 인상 9%→13%), 받는 돈 (소득대체율 40% →43%)을 올리는 걸로 여야 정부가 합의가 되며 통과 됐습니다. 하지만 결국 기성세대가 많이 받고 청년층과 자라날 미래의 아이들은 적자를 보는 구조라며 정치인들은 자신들의 비난을 피할 만큼만 개정한 법이라며 비판이 많습니다. 쉽게 말해, 급한 불만 껐다는 말인데요. 아무래도 2007년 이후 18년 만에 이루어진 연금개혁이라 급한 불이라는 말로 비유되는 것 같습니다. 참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원래는 이번 연금개혁안에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한다는 협의안도 있었는데요. 이 부분은 여당(국민의힘)에서 재정 안정화를 위해 자동조정장치 도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고, 야당(더불어민주당)은..

우리나라가 민감국가라고? 민감국가란 무엇인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자

우리나라가 미국의 민감국가 List에 포함 됐다는 사실 아시나요? 2025년 3월 17일 기준으로, 미국이 한국을 '민감국가 리스트(Senstive Country List, SCL)'에 포함시켰다는 사실이 공식적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미국 에너지부는 2025년 1월 초,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에 한국을 이 리스트의 최하위 범주인 '기타 지정국가(Other Designated Country)'로 추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조치는 4월 15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며, 한국 정부는 이를 뒤늦게 파악하고 미국 측과 협의 중에 있습니다. 1월초에 리스트에 포함 됐는데 이걸 이제야 알게 된 사실도 정말 놀랍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도대체 하는 일이 뭐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요. 민감국가로 지정되면 원자력..

적대적 M&A란 무엇일까? 장단점과 일반적인 특성과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단독] 한화, 호주 조선사 적대적 M&A…"美군함시장 본격 진출" 한화그룹이 ‘몸값’ 1조 2700억 원(시가총액 기준) 규모 호주 조선·방위산업 업체인 오스탈 지분을 공개매수한다. 2021년부터 인수를 추진했지만, 오스탈 이사회의 거부로 막히자 적대적 인수합병(M&A)으로 방식을 바꿨다. 미국에 조선소를 보유한 오스탈을 앞세워 미국 함정 시장을 뚫기 위해서다.      경제를 모르더라도 M&A라는 용어는 많이들 들어보셨을 겁니다. 우리말로 인수합병을 뜻하는 경제용어인데요. 요즘 조선업과 방산업이 아주 뜨겁습니다. 게다가 이 뜨거운 산업에 중심인 한화그룹이 주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위 기사에 따르면 한화그룹이 물들어올 때 노 젓는 전략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장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입니다.  ..

사재출연이란 무엇일까?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feat. 홈플러스와 MBK>

“우리 돈 받을 수 있는 건가요”... 전례 없는 회장 사재출연, 홈플 숨통 틀까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홈플러스 납품대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재를 출연한다. 홈플러스가 지난 4일 기업회생(법정관리) 절차를 신청한 후 MBK 책임론이 확산하자 사재 출연을 통해 진화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얼마 전 홈플러스가 회생 신청하며 경제에 대한 우려감이 높아졌는데요. 정말로 홈플러스가 무너지면 상당한 실업자가 나올 것이고 투자자 또한 큰 손실에 대해 말이 많았습니다. 그러던 중 오늘 새로운 기사가 나왔는데요. 위 기사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대주주 사모펀드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이 사재출연한다는 소식이 나왔습니다. 제 블로그에서 다룬적은 없지만 건설사 태영건설 워크아웃으로 인해 태영그룹 대주주 일가가 사재..

실적을 더 좋아 보이게 하는 회계 비법 빅 배스(Big Bath)란 무엇일까?

트럼프 2기 정부가 출범하며 전 세계가 불확실성에 휩싸여있습니다. 지속되는 관세 정책을 둔화되는 경제 지표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밀어붙이고 있는데요. 이로 인해서 많은 전문가들은 경기 침체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상무부 장관 하워드 루트닉은 인터뷰에서 1분기 경제 성장률은 마이너스로 전환될 수도 있다고 말하고 있는데요. 이어서  이것은 이전의 바이든 정부 때문이라며 당분간은 경기 둔화가 이어지며 트럼프 정부로 인해 하반기 들어서는 폭발적인 성장을 이룰 것이라 자신감을 내비쳤습니다. 이 모습을 보니 빅 배스 (Big Bath)가 떠올랐는데요. 개인적으로 저는 트럼프 정부가 빅 배스와 같은 전략을 쓰고 있다고 보입니다. 빅 배스라는 용어는 기업 회계 관련해서 쓰는 용어인데요. 별 거 아닌 것 같아도..

USTR이란 무엇일까?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USTR은 "G20(주요 20개국) 국가와 같은 거대 무역국이나, 아르헨티나·호주·브라질·캐나다·중국·유럽연합(EU)·인도·인도네시아·일본·한국·말레이시아·멕시코·러시아·사우디아라비아·남아프리카공화국·스위스·대만·태국·튀르키예·영국·베트남 등 미국이 가장 큰 상품 무역적자를 갖고 있는 국가들과 관련된 자료 제출에 특히 관심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은 G20에 속해 거대 경제규모를 지닌데다, 미국의 무역적자국 8위에 해당해 여러모로 주요 타깃이 될 것으로 보인다.      요즘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으로 소란스럽습니다. 관세 관련 뉴스를 보면 USTR이라는 기관명을 자주 보게 되는데요. 위 기사에서도 관세 관련해서 USTR의 말에 관심도가 쏠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USTR이란 무엇인지, 역..

배당이 비과세? 감액배당이란 무엇일까? 장단점과 일반 배당과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감액배당(자본감액 배당)’을 시행하는 상장사가 급증하고 있다. 일반 배당과 달리 배당소득세를 떼지 않아 실질적인 배당 증대 효과를 볼 수 있어서다. 주주환원을 요구하는 소액주주뿐만 아니라 배당을 통해 상속·증여세 재원을 마련하려는 최대주주에게도 유리한 제도라는 평가가 나온다.      위 기사에 따르면 소액주주뿐만 아니라, 최대주주에게도 유리한 제도라는 평가를 눈여겨 볼 수 있는데요. 일반 배당은 알겠는데.. 감액배당은 또 뭘까요?  감액배당은 쉽게 말해, 이익잉여금을 재원으로 하는 일반 배당과는 달리 자본준비금을 감액해 마련한 재원으로 배당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 배당에는 15.4% 배당소득세가 적용되지만 감액배당은 비과세라는 것이 엄청 큰 장점으로 볼 수 있는데요. 정말로 비과세인지, 장단점과 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