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기초

PER이란? – 주가수익비율의 개념과 투자 해석

머니 iN 사이트 2025. 5. 1. 00:01
728x90
반응형

PER은 주가가 그 회사의 이익(Earnings)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하면, "이 회사는 이익의 몇 배 가격으로 거래되고 있나?"를 나타내는 숫자예요.

 

ⓒ Unsplash 의 Kelly Sikkema

반응형

 

✅ PER 공식

PER = 주가 ÷ EPS (주당순이익)

  • 주가: 한 주의 현재 가격
  • EPS (Earnings Per Share): 한 주당 벌어들이는 이익EPS=순이익발행주식 수\text{EPS} = \frac{\text{순이익}}{\text{발행주식 수}}

 

✅ 쉽게 예를 들면?

  • 어떤 회사의 주가가 30,000원이고,
  • EPS가 3,000원이면,

PER = 30,000 ÷ 3,000=10

➡️ 이 회사의 PER은 10배입니다.

 

✅ PER이 의미하는 것

  • PER 10이라면,
    👉 "이 회사가 벌어들이는 이익 기준으로 10년 뒤 원금을 회수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어요.
    (물론 이익이 계속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 PER이 낮을수록 저평가된 주식일 수 있지만,
    너무 낮으면 문제가 있는 회사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 PER 해석 기준

PER 수준 일반적 해석
낮음 (5~10 이하) 저평가일 수 있음, 리스크가 있을 수도 있음
중간 (10~20) 평균적인 밸류에이션
높음 (20~40 이상) 성장주일 가능성, 미래 수익을 반영

※ 산업별로 기준은 다르기 때문에 같은 업종끼리 비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PER 활용 팁

  • 같은 산업 내에서 비교할 때 유용합니다.
    예: 반도체 회사 A vs 반도체 회사 B
  • 성장주 vs 가치주를 비교할 때 참고할 수 있어요.
  • PER × ROE = PBR이라는 공식도 자주 사용됩니다.

 

🔍 예시 비교

회사 주가 EPS PER
A사 20,000원 2,000원 10배
B사 30,000원 1,500원 20배
728x90
  • A사: 수익에 비해 싸다 (저평가일 수 있음)
  • B사: 수익에 비해 비싸다 (고평가, 혹은 성장 기대)

 

✅ 마무리 요약

항목 설명
지표명 PER (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
공식 주가 ÷ EPS
의미 수익에 비해 주가가 비싼 정도
낮을수록 저평가 가능성 ↑
높을수록 성장성 기대 or 과대평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