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기초

ROE란? – 자기자본이익률의 개념과 투자 해석

머니 iN 사이트 2025. 5. 2. 00:01
728x90
반응형

ROE주주의 돈(자기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으로 바꾸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즉, 회사가 내 돈(자본)으로 얼마나 잘 벌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입니다.

 

ⓒ Unsplash 의 FIN

반응형

 

✅ ROE 공식

ROE=당기순이익 ÷ 자기자본×100

  • 당기순이익: 세금과 비용을 다 제하고 실제 벌어들인 순수 이익
  • 자기자본: 자산 - 부채, 즉 회사가 빌린 돈을 뺀 ‘순수 내 돈’
  • 곱하기 100을 해서 % 단위로 표현합니다

 

✅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 어떤 회사의 자기자본이 500억 원,
  • 당기순이익이 50억 원이라면: ROE=50억 ÷ 500억×100=10%

➡️ 이 회사는 주주의 돈으로 10% 수익을 올렸다는 뜻입니다.

 

✅ ROE가 높다는 뜻은?

  • ROE 10% 이상: 일반적으로 수익성이 좋은 회사로 평가
  • ROE 5% 이하: 수익성이 낮거나 자본을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을 수 있음
  • 은행이나 증권 등 금융업종은 ROE가 높은 편이고, 제조업은 낮은 편일 수 있어요.

 

✅ ROE는 왜 중요한가요?

  • 기업이 자기자본을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지 알려줍니다.
  • 높은 ROE는 경영 효율이 좋다는 의미로, 투자 매력도를 높입니다.
  • PER × ROE = PBR이라는 공식도 자주 사용됩니다.

 

🔄 ROE와 다른 지표 관계

지표 공식 의미
ROE 순이익 ÷ 자기자본 주주 돈으로 얼마 벌었나
EPS 순이익 ÷ 주식 수 1주당 얼마 벌었나
PER 주가 ÷ EPS 수익 대비 주가 수준
PBR 주가 ÷ BPS 자산 대비 주가 수준
PBR = PER × ROE 자주 사용되는 공식 관계  
728x90

 

✅ 마무리 요약

항목 설명
지표명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공식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
의미 주주의 돈으로 얼마를 벌었는가
활용 기업 수익성, 경영 효율 판단 기준
높을수록 수익성 우수, 경영 효율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