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기초

EPS란? – 주당순이익의 개념과 계산법

머니 iN 사이트 2025. 4. 30. 00:01
728x90
반응형

EPS는 말 그대로 “한 주당 얼마만큼의 이익을 벌었는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회사의 전체 순이익을 발행된 주식 수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 Unsplash 의 Kelly Sikkema

반응형

 

✅ EPS 공식

EPS =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 수

  • 당기순이익: 회계연도 동안 회사가 벌어들인 최종 이익 (세금, 이자, 비용 등 다 뺀 순수 이익)
  • 발행주식 수: 보통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 예시로 쉽게 설명하면

  • 어떤 회사의 순이익이 100억 원이고,
  • 발행한 주식이 1,000만 주라면:

EPS = 100억 ÷ 1,000만주 = 1,000원

➡️ 이 회사는 한 주당 1,000원만큼 이익을 벌어들인 셈입니다.

 

✅ EPS는 왜 중요할까요?

EPS는 기업의 수익성을 직접적으로 보여줍니다.

  • EPS가 높다 = 수익성이 좋은 회사
  • EPS가 낮다 = 수익성이 낮거나 적자일 수 있음

또한, PER 계산의 핵심 요소로 사용됩니다.

 

PER = 주가 ÷ EPS

EPS가 올라가면 PER이 낮아지고, 이는 주가가 저평가됐을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 주의할 점

  • EPS는 순이익에 따라 변동이 크기 때문에,
    일회성 손익이 포함된 경우엔 실제 이익 능력을 왜곡할 수 있어요.
  • 기업은 자사주 매입 등으로 발행주식 수를 줄여서 EPS를 인위적으로 올릴 수도 있습니다.

 

✅ 마무리 요약

항목 설명
지표명 EPS (Earnings Per Share)
주당순이익
공식 당기순이익 ÷ 발행주식 수
의미 한 주가 벌어들이는 실제 수익
활용 PER 계산, 기업 수익성 비교 등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