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투자 기초 83

불성실공시란 무엇이며 유형과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자

최근 금양 기업이 불성실공시로 인해 한국거래소로부터 제재를 받았습니다. 금양 기업은 최고점 대비 93%가 넘게 하락한 상태인데요. 많은 개인 투자자들이 손실을 입을 것으로 보여는데요.  해외 거래소든 국내 거래소든 어디든 문제가 발생하는 기업은 발생하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유독 국내 거래소에서 주주 비친화적인 기업이 많이 발생하곤 합니다. 참 안타까운 일입니다. 금융당국이 금융 시장을 감독하고 있지만 안타까운 일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네요. 그래서 우리 개인 투자자는 좋은 기업과 안 좋은 기업을 구별해내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불성싱공시란 무엇이며 유형과 사례를 통해 공부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불성실공시란?불성실공시는 상장법인이 공시해야 하는 중요한 사항을 누락하거나 허위..

투자 기초 2025.03.08

숏스퀴즈<Short Squeeze>란 무엇일까? 원리와 발생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제 국내 시장에 다시 공매도가 재개될 예정입니다.2025년 3월 31일부터 재개될 예정인데요. 공매도는 지난번에 소개드린 적이 있으니 해당 링크를 통해 참고 부탁드립니다.  공매도란 무엇일까? 공매도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자우리나라 금융시장은 현재 공매도를 규제한 상태입니다.공매도 금지는 단기적으로는 주가 상승을 가져올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장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거품을 발생시켜 시장 불안정을thisshitishot.tistory.com 공매도를 앞두고 있는 투자자분들을 위해서 숏스퀴즈 를 가지고 왔습니다.이 주제를 다루려는 이유는 공매도 거래를 통해 많이 일어나는 현상이기도 하기 때문이죠. 숏스퀴즈란 무엇인지, 원리와 발생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시간 갖도록 하겠습니다.  숏스퀴..

투자 기초 2025.02.24

미국 주식예탁증서 <ADR>이란 무엇인지,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자

미국의 뉴욕 증권 거래소(NYSE)에 보면 (ADR)을 달고 있는 종목이 보이곤 합니다. 대만의 TSMC와 국내 기업 포스코 같은 기업들을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자신의 국가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데 왜 미국에도 상장 되어 있는 걸까요? 오늘은 주식예탁증서(ADR)이란 무엇인지,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DR (American Depositary Receipt, 미국 주식예탁증서)란?ADR은 미국 시장에서 외국 기업의 주식을 거래할 수 있도록 발행된 증서입니다. 즉, 외국 기업이 미국 증시에 상장하지 않고도 미국 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의 주식을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ADR의 작동 원리외국 기업: 자국 통화로 주식을 발행합니다.예탁 은행: 외국 기업의 주식을 매입..

투자 기초 2025.02.20

동시호가란 무엇일까? 원리와 특징, 활용하는 투자 전략까지 알아보자

ETF에 대해서 알아보다 보니 동시호가라는 주제까지 왔습니다.  전에 알아보았던 유동성 공급자 제도는 동시호가대에 제 기능을 하지 않는다고 설명드리고 동시호가 시간대에 ETF 거래는 피하자고 설명 드렸었죠! 그렇다면 단점은 알았으니.. 동시호가가 탄생하게 된 이유와 원리와 특징을 안다면 이것을 활용해서 투자 전략까지 세울 수 있지 않을까요? 오늘은 동시호가라는 주제를 꼼꼼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동시호가란?**동시호가(同時呼價, Call Auction)**는 일정한 시간 동안 매수·매도 주문을 모아서 하나의 가격으로 동시에 체결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주로 주식 시장의 시작과 끝에서 적용되며, 주문을 쌓아두고 특정 시점에서 단일 가격으로 체결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특정 시간 동안 접수된 모든 호가를 ..

투자 기초 2025.02.15

ETF 거래할 때 손해보지 않고 사는 법! 유동성 공급자 제도(LP)를 알아보자 <Feat. 괴리율>

주식 ETF를 매수할 때 손해보고 살 수도 있다는 거 아시나요?! 지난번엔 ETF의 보수율이란 무엇인지, 순자산가치(NAV)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보수율은 한 마디로 수수료이고 수수료를 포함한 순자산가치(NAV)에 대비해 주가가 높다면 비싸다는 내용이었죠.이제는 개념을 이해했으니 ETF 거래를 효용성 있게 해야겠죠?  ETF의 시장 가격과 순자산가치(NAV) 사이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괴리율이라고 합니다.괴리율이 높다는 것은 평가가 잘 못 되어 있다는 것인데요. 이것을 바로 잡기 위해 보안관 역할을 하는 '유동성 공급자 제도(LP)'가 있습니다.오늘 알아볼 주제인데요.유동성 공급자 제도가 제 역할을 하지 않는 시간대가 있는데요. '동시호가' (15:20 ~ 15:30) 시간대입니다. 동시호가에 대한..

투자 기초 2025.02.14

순자산가치 <NAV>란 무엇일까? (Feat. iNAV)

지난번 ETF의 보수율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보수율을 알아보던중 NAV라는 용어가 나왔었죠.'보수율은 ETF의 순자산가치(NAV)에 녹있기 때문에 투자자가 직접 지불하는 형태는 아니지만, ETF의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므로 꼼꼼히 확인해봐야하는 요소'라고 설명했었습니다. NAV라는 것은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의 약어인데요.보수율을 꼼꼼히 확인해봐야하는 요소라고 했으면 당연히 순자산가치(NAV)에 대해서도 숙지가 되어있어야겠죠? 그래서 오늘은 순자산가치(NAV)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추가로 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iNAV)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그리고 이것을 활용하는 방법도 같이 알아보는 시간 갖도록 하겠습니다.  ETF 순자산가치(NAV, Net Asset Value..

투자 기초 2025.02.13

ETF 보수율이란? 비교방법과 중요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10년이면 76만 원 덜 낸다"…ETF 수수료 비교해 보니순자산 180조 원의 상장지수펀드(ETF) 업계에서 수수료 인하 경쟁에 다시 불이 붙고 있다. ETF 업계 ‘투톱’인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선두 다툼 과정에서 총보수는 소수점 넷째 자리까지 내려갔다.비용을 줄일 수 있으니 투자자 입장에선 반가운 소식이다. 전문가들은 자산운용사들이 내세우는 ETF 총 보수뿐만 아니라 숨은 비용까지 따져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숨은 비용을 포함하면 수수료율이 뒤바뀌는 경우가 있는 데다 장기투자 시 적은 비용 차이가 큰 수익률 차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많은 투자자들이 ETF를 통한 분산투자를 하고 있습니다.제 블로그에서는 지난번 ETF란 무엇인지 알아보았었는데요." data-og-descri..

투자 기초 2025.02.12

'홈디포' 기업 실적을 통해서 경제 상황을 알아보고 투자 전략 세우기!

지난번 제 블로그에서는 배송회사 '페덱스' 기업 실적을 통해서 경제 상황을 알아보고 투자 전략 세우는 방법을 다뤘었는데요.  글로벌 경기 바로미터라 불리는 페덱스 실적으로 경기를 전망하는 방법?지난주 미국의 글로벌 물류 기업 페덱스 실적이 나오며 또 다시 경기 침체에 대한 의심이 생겨났습니다.글로벌 경기 바로미터라 불리는 페덱스인데요. 페덱스 실적으로 경기를 전망하는 사람thisshitishot.tistory.com 오늘 다뤄볼 주제는 '홈디포' 기업 실적을 통해서 경제 상황을 알아보고 투자 전략 세우는 방법입니다. 페덱스 같은 경우는 배송 물류가 줄어들면 사람들의 소비 여력을 파악할 수 있어 경제 상황을 분석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했었죠. 홈디포는 어떤 기업이길래 경제 상황 분석하는 데에 도움이 ..

<TIPS> 물가연동국채에 대해서 알아보고 투자전략을 세워보자!

혹시 여러분은 어떤 투자를 하고 계신가요?  주식이나 비트코인 같은 위험 자산에 투자하고 계신가요? 혹은 부동산에 투자하고 계신가요? 아니면 안전자산이라 여겨지는 미국채와 금에 투자하고 계신가요?  안전자산이라 불리는 미국채와 금도 손실을 볼 수가 있습니다. 예적금 같은 보수적인 재테크를 하시는 분들도 계시죠. 예적금도 뱅크런 사태가 일어난다면 손실을 볼 수가 있습니다. 물론 국가에서 한도 내에서 보호해주고 있지만요. 손실 없는 투자는 없습니다. 안전한만큼 수익률이 낮아지죠. 오늘 알아볼 주제는 위에서 소개한 투자와는 다른 또 다른 방식의 안전한 투자 방법입니다. TIPS라 불리는 '물가연동국채'인데요. 물가 상승으로 화폐 가치가 하락하더라도 물가연동국채에 투자하면 실질 가치를 보전할 수 있습니다. 물가..

투자 전략! 바이 더 딥 <Buy the Dip> 활용해보자!

지난번 제 블로그에서는 새해맞이해서 투자 전략에 다양한 방법을 활용해보기 위해서 여러 가지 주제를 다뤘었는데요. 오늘도 투자 전략에 활용 할 수 있는 방법을 가지고 왔습니다. 바로 바이 더 딥이라 불리는 저가 매수 전략인데요. 이 전략이 먹혔을 때는 줍줍했다며 성공적인 투자를 자랑하고는 합니다.  하지만 투자 전략이라고 해서 무조건 좋은 방법은 아니며, 계속해서 상승할 여지가 있다면 아주 좋은 전략이 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바이 더 딥이란 투자 전략에 대해서, 장단점과 주의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바이 더 딥 (Buy the Dip) 이란?**바이 더 딥 (Buy the Dip)**은 주식이나 암호화폐 등의 자산 가격이 일시적으로 하락했을 때, 이를 저가 매수의 기회로 삼아 투자하는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