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ETF의 보수율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보수율을 알아보던중 NAV라는 용어가 나왔었죠.
'보수율은 ETF의 순자산가치(NAV)에 녹있기 때문에 투자자가 직접 지불하는 형태는 아니지만, ETF의 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므로 꼼꼼히 확인해봐야하는 요소'라고 설명했었습니다.
NAV라는 것은 순자산가치(Net Asset Value)의 약어인데요.
보수율을 꼼꼼히 확인해봐야하는 요소라고 했으면 당연히 순자산가치(NAV)에 대해서도 숙지가 되어있어야겠죠?
그래서 오늘은 순자산가치(NAV)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추가로 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iNAV)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활용하는 방법도 같이 알아보는 시간 갖도록 하겠습니다.
ETF 순자산가치(NAV, Net Asset Value)란?
**NAV(순자산가치)**는 ETF(상장지수펀드)의 1주당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ETF가 보유한 주식, 채권, 현금 등의 총 자산에서 부채를 뺀 금액을 ETF의 총 좌수(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즉, ETF 1주당의 순수한 자산 가치를 의미합니다.

NAV의 중요성
- ETF의 실제 가치: NAV는 ETF의 실제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ETF의 시장 가격은 NAV를 기준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투자자는 NAV를 통해 ETF의 적정 가격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 ETF의 수익률 계산: ETF의 수익률은 NAV의 변동률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NAV는 ETF의 투자 성과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NAV 계산 방법
NAV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계산됩니다.
NAV = (ETF 보유 자산 총액 - 부채 - 운용 비용) / ETF 발행 주식 수
🔹 예제
- ETF가 보유한 총 자산 가치 = 100억 원
- ETF의 부채 = 1억 원
- ETF 총 발행 좌수 = 10,000,000좌
NAV=(100−1)억10,000,000=9,900원NAV = \frac{(100 - 1)억}{10,000,000} = 9,900원
즉, ETF의 1좌(주당) 가치는 9,900원이 됩니다.
📊 ETF NAV vs. 시장 가격
ETF는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거래되지만, NAV는 하루에 한 번 정산된 이론적 가치입니다.
이 때문에 ETF의 시장 가격과 NAV는 다를 수 있음
✅ NAV보다 시장 가격이 높으면 → 프리미엄 (고평가 상태)
✅ NAV보다 시장 가격이 낮으면 → 할인 (저평가 상태)
예제:
- ETF NAV = 10,000원
- ETF 시장 가격 = 10,500원
즉, 시장에서 ETF가 5% 더 비싸게 거래되고 있음.
📌 NAV 확인 방법
ETF의 순자산가치(NAV)는 한국거래소(KRX) 또는 자산운용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실시간 iNAV: 장중 실시간으로 변하는 NAV(Indicative NAV)도 제공됨.
iNAV (Indicative Net Asset Value)
iNAV는 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를 의미합니다. NAV는 장 마감 후에 계산되는 반면, iNAV는 장중에도 실시간으로 추정되어 제공됩니다. iNAV는 투자자가 ETF의 시장 가격이 적정한지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NAV와 iNAV의 차이점
구분 | NAV (순자산가치) | iNAV (실시간 추정 순자산가치) |
계산 시점 | 장 마감 후 | 장중 실시간 |
제공 주기 | 하루 1회 | 실시간 |
활용 목적 | ETF의 실제 가치 및 수익률 계산 | ETF 시장 가격의 적정성 판단 |
💡 ETF 거래 시 NAV 활용법
✅ 프리미엄이 높은 ETF는 신중하게 접근
✅ 할인된 ETF는 매수 기회가 될 수도 있음
✅ 장기 투자자는 NAV와 시장 가격 차이를 줄이는 "시장가 주문"보다 "지정가 주문"을 활용
📌 결론: ETF의 실제 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어 NAV는 중요한 기준이며, 시장 가격과 비교하여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
'투자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시호가란 무엇일까? 원리와 특징, 활용하는 투자 전략까지 알아보자 (68) | 2025.02.15 |
---|---|
ETF 거래할 때 손해보지 않고 사는 법! 유동성 공급자 제도(LP)를 알아보자 <Feat. 괴리율> (51) | 2025.02.14 |
ETF 보수율이란? 비교방법과 중요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55) | 2025.02.12 |
애널리스트들의 'TP'란 무엇일까? (63) | 2025.01.30 |
변동성 축소 패턴 'VCP'에 대해서 알아보고 투자전략 세워보자 ! (86)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