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에 대해서 알아보다 보니 동시호가라는 주제까지 왔습니다.
전에 알아보았던 유동성 공급자 제도는 동시호가대에 제 기능을 하지 않는다고 설명드리고 동시호가 시간대에 ETF 거래는 피하자고 설명 드렸었죠! 그렇다면 단점은 알았으니..
동시호가가 탄생하게 된 이유와 원리와 특징을 안다면 이것을 활용해서 투자 전략까지 세울 수 있지 않을까요?
오늘은 동시호가라는 주제를 꼼꼼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동시호가란?
**동시호가(同時呼價, Call Auction)**는 일정한 시간 동안 매수·매도 주문을 모아서 하나의 가격으로 동시에 체결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주로 주식 시장의 시작과 끝에서 적용되며, 주문을 쌓아두고 특정 시점에서 단일 가격으로 체결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특정 시간 동안 접수된 모든 호가를 모아 한 번에 가격을 결정하고 거래를 성사시키는 방식으로, 일반적인 주식 거래 방식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 동시호가가 적용되는 시간
- 장 시작 동시호가 (08:30 ~ 09:00)
- 오전 8시 30분부터 9시까지 매수·매도 주문을 접수받고,
- 오전 9시에 하나의 가격으로 체결되며 정규장이 시작됨.
- 장 마감 동시호가 (15:20 ~ 15:30)
- 오후 3시 20분부터 3시 30분까지 매수·매도 주문을 접수받고,
- 오후 3시 30분에 하나의 가격으로 체결되며 정규장이 종료됨.
✅ 동시호가의 특징
- 여러 주문을 모아 단일 가격으로 체결
- 동시호가 동안 입력된 주문은 매수·매도 가격을 조정하여 하나의 가격에서 체결됨.
- 실시간 체결이 아니라 지정된 시간에 체결
- 정규장(09:00~15:20)처럼 실시간 체결이 아니라 한 번에 체결됨.
- 체결 가격은 가장 많은 주문이 체결될 수 있는 가격(가격 우선 매칭 원칙 적용)
- 매수·매도 주문이 가장 많이 충족되는 가격이 동시호가의 체결 가격으로 결정됨.
✅ 동시호가 체결 원리 (단일가 매매 방식)
- 동시호가 시간 동안 투자자들은 자유롭게 매수·매도 주문을 제출할 수 있음.
- 하지만 실제 체결은 주문이 많이 몰리는 가격에서 발생함.
- 한국거래소(KRX)는 최대 거래량이 성립하는 가격을 체결가로 결정함.
예시 📊
- A 주식의 매수·매도 주문이 다음과 같다면:
- 18,000원: 매도 1,000주
- 18,100원: 매도 2,000주
- 18,200원: 매수 3,500주 / 매도 3,000주 ← 가장 많은 주문이 체결될 수 있는 가격
- 18,300원: 매수 2,500주
- 18,400원: 매수 1,500주
→ 이 경우 18,200원이 동시호가 체결 가격이 됨.
✅ 동시호가를 활용하는 전략
- 갭 상승·갭 하락 예측
- 장 시작 전 글로벌 증시나 기업 뉴스에 따라 시가가 전일 종가보다 크게 오르거나 내릴 가능성이 있음.
- 이를 보고 미리 매수/매도 전략을 짤 수 있음.
- 동시호가 매매 전략
- 특정 호가에 대량 주문이 몰리면 이를 이용해 초반 흐름을 예측 가능.
- 기관·외국인의 대량 주문을 확인하여 장 초반 주가 방향성을 예상할 수 있음.
- 장 마감 동시호가를 활용한 마감 전략
- 기관 투자자들은 장 마감 직전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위해 대량 주문을 넣는 경우가 많음.
- 동시호가 주문을 보고 수급 동향을 파악할 수 있음.
✅ 동시호가 주문 시 주의할 점
🔹 정규장과 달리 즉시 체결되지 않음 → 주문을 넣어도 09:00 또는 15:30에 체결됨.
🔹 주문을 변경하거나 취소할 수 있음 → 하지만 체결 직전(08:59, 15:29 등)에는 주문 수정이 어렵거나 지연될 수 있음.
🔹 체결 가격이 예상과 다를 수 있음 → 동시호가 중간에 예상 체결 가격이 바뀔 수 있어, 마지막 순간에 가격이 변동될 가능성이 있음.
💡 정리하면!
- 동시호가는 장 시작과 마감 전에 주문을 모아 한 번에 체결하는 방식.
- 최대 거래량이 성립하는 가격이 체결가로 결정됨.
- 기관·외국인의 대량 주문을 확인하고 초반 주가 흐름을 예측하는 데 유용.
- 다만, 최종 체결가가 예상과 다를 수 있어 신중한 주문이 필요.
📈 ETF나 개별 주식 투자 시, 동시호가 시간대를 잘 활용하면 유리한 매매 전략을 세울 수 있어요! 😊
동시호가는 왜 있을까? (동시호가 제도의 목적)
동시호가는 시장 안정성과 공정한 가격 형성을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주식 시장에서 가격 왜곡을 방지하고, 투자자 간 공정한 거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동시호가의 주요 목적
1️⃣ 시장 개장·마감 시 급격한 가격 변동 방지
- **장 시작 전(08:30
09:00)과 장 마감 전(15:2015:30)**에는 투자자들의 대량 주문이 몰릴 가능성이 큼. - 만약 실시간으로 체결된다면 가격이 급등락할 수 있음.
- 동시호가를 통해 최대한 많은 주문이 충족되는 가격에서 거래되도록 유도, 가격 변동성을 줄임.
2️⃣ 공정한 가격 형성 (최대 거래량 기준 체결)
- 시장 가격을 가장 공정하게 결정하기 위해 최대 거래량이 형성되는 가격에서 체결되도록 함.
- 투자자들이 서로 경쟁적으로 가격을 맞춰가며 주문을 넣는 과정에서 ‘객관적인 시장 가격’이 형성됨.
3️⃣ 시초가·종가를 안정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 동시호가 제도를 통해 하루의 시작과 끝 가격(시초가, 종가)을 안정적으로 결정함.
- 시초가(Opening Price)와 종가(Closing Price)는 기관 투자자, 트레이더, 애널리스트들이 참고하는 중요한 가격 지표이므로 공정한 방식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음.
4️⃣ 대량 주문으로 인한 시장 충격 완화
- 기관 투자자, 외국인 투자자들은 대량 주문을 한 번에 넣는 경우가 많음.
- 만약 동시호가가 없다면, 이 주문이 실시간으로 체결되면서 시장 가격이 급등락할 가능성이 높음.
- 동시호가를 통해 여러 주문을 모아서 체결하면 시장 충격을 줄이고, 가격 변동성을 낮출 수 있음.
5️⃣ 투자자 간 공정한 기회 제공
- 만약 동시호가 없이 실시간으로 체결된다면, 빠르게 주문을 넣는 사람이 유리할 수 있음.
- 하지만 동시호가에서는 모든 투자자가 동일한 시간 동안 주문을 넣고, 가장 공정한 가격에서 체결되도록 조정됨.
동시호가 제도가 없으면 어떻게 될까?
- 시장이 열리자마자 시가가 큰 폭으로 출렁이는 현상이 자주 발생할 것.
- 대량 주문이 몰리면서 가격 왜곡이 심해지고, 변동성이 커질 것.
- 투자자들 간 공정한 거래 기회가 줄어들고, 기관·프로 투자자들이 유리해질 가능성이 높아짐.
- 시장이 열리는 순간과 닫히는 순간 투자 심리가 불안정해질 것.
결론: 동시호가는 시장 안정성을 위한 필수 제도!
✅ 장 시작과 마감 전 급격한 가격 변동을 방지
✅ 최대 거래량이 성립되는 가격에서 체결되므로 공정한 가격 형성
✅ 시초가·종가를 안정적으로 결정하여 시장 신뢰도 향상
✅ 대량 주문으로 인한 시장 충격 완화
✅ 모든 투자자가 동등한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보장
💡 즉, 동시호가는 시장이 불안정해지는 걸 막고, 공정한 가격 형성을 돕기 위해 꼭 필요한 제도입니다! 😊
'투자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숏스퀴즈<Short Squeeze>란 무엇일까? 원리와 발생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자 (77) | 2025.02.24 |
---|---|
미국 주식예탁증서 <ADR>이란 무엇인지,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자 (91) | 2025.02.20 |
ETF 거래할 때 손해보지 않고 사는 법! 유동성 공급자 제도(LP)를 알아보자 <Feat. 괴리율> (51) | 2025.02.14 |
순자산가치 <NAV>란 무엇일까? (Feat. iNAV) (86) | 2025.02.13 |
ETF 보수율이란? 비교방법과 중요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55)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