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443

GPM 매출총이익률 알아보기 <영향력, 계산법, 주의할 점>

기업을 분석하다보면 괜히 불편하게 영어 단어로 돼있는 것을 많이 보실 수 있으실텐데요. 내가 투자하고자 하는 기업이 얼마나 벌어들이는지 잘 알아야 좋은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 알아볼 GPM 매출총이익률이란 무엇인지, 여기서 우리가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GPM GPM은 Gross Profit Margin의 약자로, 매출총이익률이라고 합니다. 즉,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여 얻은 매출액에서 제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직접적으로 사용된 비용(매출원가)을 뺀 나머지 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입니다.왜 GPM이 중요할까요?기업의 수익성 평가: GPM은 기업의 핵심 사업 부문의 수익성을 보여줍니다. 높은 GPM은 기업이 제품 생산이나 서비스 제공에 드는 비용..

투자 기초 2024.08.01

전자공시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로 하지마라, 책 리뷰

스터디 그룹에서 기업분석을 통한 가치투자를 배우고 있는데 마침 최근 출간된 책이 있어서 읽어보게 됐다. 다른 책과 달리 읽는데 시간이 조금 걸렸다. 음식을 체하지 않게 꼭꼭 씹어 삼키듯이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은 계속해서 읽어나가느라 생각 이상으로 시간이 소요 됐는데, 투자 입문서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교과서처럼 구성돼 있다.   마인드셋모든 일에 있어서 마인드가 9할이라 생각한다. 하고자 하는 일을 '그냥'하는 것이 아닌 잘 하려는 마음, 즉 태도를 말한다. 저자는 독자에게 투자를 하며 세 가지 질문을 꼭 스스로 생각하기를 권한다. 첫째, 왜 주식투자를 하는지 둘째, 주식투자에서 돈을 번다는 것은 무엇인지 셋째, 주가는 언제 오르게 되는지 간단한 질문일 수도 있지만 이상하게도 두 번째 질문에 대해서는..

2024년 경제의 역동성 지원 세법개정안 알아보기

세법개정안 소개 마지막 네 번째입니다. 기업 관련 법안으로 어떻게 자본시장을 성장시킬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우리에게 아주 중요한 세법이 담겨져 있는데요. 경제에 어떤 세법을 적용해서 지원을 할 것인지 알아본다면 경제의 흐름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고 이 내용을 통해 투자 전략도 바꿀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2024년 납세자 친화적 환경 구축 세법개정안 알아보기민생경제 회복, 조세체계 합리화 세법개정안에 이어서 세번째로 소개해드릴 세법개정안입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법안은 기부금을 내시거나 해외직구를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이 알아가면 좋thisshitishot.tistory.com   투자·고용·지역발전 촉진➊ 국가전략기술 등 R&D세액공제·통합투자세액공제 적용기한 연장R&D비용 세액..

2024년 납세자 친화적 환경 구축 세법개정안 알아보기

민생경제 회복, 조세체계 합리화 세법개정안에 이어서 세번째로 소개해드릴 세법개정안입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법안은 기부금을 내시거나 해외직구를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이 알아가면 좋을 내용으로 보입니다. 지난번 소개해드린 두 가지 법안과 다르게 이번 내용은 짧습니다.   2024년 조세체계 합리화 세법개정안 정리글지난번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세법개정안을 알아보았습니다. '역동적 성장과 민생 안정 지원'이라는 취지로 네 가지 종류가 있다고 말씀드렸었는데요. 이번엔 '조세체계 합리화', 즉 세금에 대thisshitishot.tistory.com  납세자 친화적 환경 구축 납세자 편의 제고  ➊ 전자기부금영수증 발급 활성화기부금영수증 발급 방법 : 종이영수증 또는 전자기부금영수증(선택) ☞ 기부금 수입이 일정규모..

2024년 조세체계 합리화 세법개정안 정리글

지난번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세법개정안을 알아보았습니다. '역동적 성장과 민생 안정 지원'이라는 취지로 네 가지 종류가 있다고 말씀드렸었는데요. 이번엔 '조세체계 합리화', 즉 세금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효율적인 세금제도에 대한 내용으로 투자자 또는 상속, 증여받을 예정이 있으신 분 등 알아두면 좋은 내용이니 이제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민생경제 회복 세법개정안 알아보기기획재정부에서 역동적 성장과 민생 안정 지원을 취지로 세법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분류로는 4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요.다음과 같습니다. 경제의 역동성 지원, 민생경제 회복, 조세체계 합리thisshitishot.tistory.com   세부담 적정화, 조세제도 효율화상속·증여세 부담 적정화 ➊ 상속·증여세율 및 과세표준 조정..

2024년 민생경제 회복 세법개정안 정리글

기획재정부에서 역동적 성장과 민생 안정 지원을 취지로 세법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분류로는 4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요.다음과 같습니다. 경제의 역동성 지원, 민생경제 회복, 조세체계 합리화, 납세자 친화적 환경 구축 이렇게 네 가지 분류 안에는 또 세분화되어 다양하게 구성 돼있는데요. 오늘은 민생경제 회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혼ㆍ출산ㆍ양육 지원➊ 결혼세액공제 신설적용대상 혼인신고를 하는 자 적용연도 혼인신고를 한 해 공제금액 최대 100만원 적용기한 3년 ➋ 기업의 출산지원금 비과세  1.기업의 출산지원금에 대한 근로소득 비과세 한도 현행 : 월 20만원 개정안 : 전액 비과세/근로자(친족인 특수관계자 제외) 또는 그 배우자의 자녀 출산 이후 기업이 2년 내 지급➌ 자녀세액공제 금액 확대..

오퍼레이션 트위스트 OT, 바이백 (buy back) 알아보기

지난 5월 미국 재무부에서 중대한 발표를 했었죠. 바이백이라는 정책이라는 것인데, 바이백 (buy back)이란 OT 라고도 불리는데요. 단기채를 발행, 단기채를 판매해서 그 돈으로 장기채를 매입하여 금리를 낮추는 정책입니다. 쉽게 말해 부채 돌려 막기라 볼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알아보고 이 정책을 왜 알아둬야 하는지 내용 정리 하겠습니다. 오퍼레이션 트위스트의 유래는 장단기 금리차이가 줄어들며 만기에 따른 수익률 구조가 비틀어지는 (twist) 현상을 당시 크게 유행하던 트위스트 춤에 빗대어 표현한 것으로 이 명칭은 1961년 처음 사용 되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처음 소개할 때는 바이백 (buy back)이라 말해놓고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는 뭐길래 설명하는 것일까요? 둘 다 같은 의미이지만 다르게 말하..

FTA 자유무역협정 알아보기

지난번 NAFTA를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엔 우리나라가 해당하는 FTA에 대해서 알아볼 건데요. 눈치가 있으신 분들은 벌써 아셨겠지만 'NAFTA'의 'FTA'는 자유무역협정을 뜻하고 'NA'는 'North american'을 뜻합니다 북아메리카 자유무역협정을 뜻하는 것이 NAFTA인데요. FTA는 NAFTA와 약간의 다른 점이 있습니다.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가끔 보호무역 " data-og-host="thisshitishot.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thisshitishot.tistory.com/entry/NAFTA-%EB%B6%81%EB%AF%B8%EC%9E%90%EC%9C%A0%EB%AC%B4%EC%97%AD%ED%9..

NAFTA 북미자유무역협정 알아보기

세계 모든 나라는 무역을 통해 물품을 팔고 사들이며 경제 성장을 합니다. 이렇게 자유무역 국제 무역에서 정부나 국제기구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제도>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가끔 보호무역 으로 국가 간에 갈등이 생기고 전쟁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제2차 세계대전이 있죠. 오늘날은 미중 패권 경쟁이 있겠네요. 이런 보호무역으로 갈등은 깊어지며 너도나도 수입은 최소화하고 수출은 최대화하려고 하면 경제 성장이란 없을 겁니다. 그래서 관세와 무역장벽을 폐지하고 자유무역권을 형성한 협정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오늘 알아볼 NAFTA 북미자유무역협정입니다. 미국, 캐나다, 멕시코 3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은 미국, 캐..

<CAPA> 제품 생산능력 알아보기

지난번 CAPEX, 자본적 지출을 알아보았습니다. 자본적 지출이란 미래 이윤을 위한 투자하는 비용이라고 설명했었는데요. 그렇다면 미래 이윤을 위한 투자를 통해서 케파 CAPA, 즉 제품 생산능력이 상승하게 될 겁니다. CAPA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본적 지출 알아보기 (feat. OPEX)" data-og-description="기업을 알아보다 보면 생소한 단어들이 많이 나오곤 합니다. 그래서 그런 걸까요 투자나 경제공부를 처음 입문하시는 분들이 이런 생소한 단어로 인해 쉽게 포기하곤 합니다. 그래서 생소한 단" data-og-host="thisshitishot.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thisshitishot.tistory.com/entr..

투자 기초 2024.07.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