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447

ROI란? – 투자 수익률의 대표 지표

투자 판단은 물론, 사업성과 평가, 마케팅 예산 운용까지 모든 ‘비용 대비 효과’를 따지는 데 유용한 지표인 투자한 금액 대비 얼마나 수익을 얻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ROI(Return on Investment) 투자 수익률'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투자 평가에서 정말 많이 쓰이는 지표인 만큼, 이런게 있구나라고 알고 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ROI의 정의ROI (Return on Investment)는투자한 금액 대비 얼마나 수익을 얻었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지표입니다. 한마디로, "내가 투자한 돈 대비 얼마나 벌었냐?"를 보여주는 지표예요. ✅ ROI 공식ROI = (수익−투자비용 ÷ 투자비용)×100 100ROI=(투자비용수익−투자비용​)×100또는 간단히: ROI=순이익 ÷ 투자금..

투자 기초 2025.04.26

인내는 쓰고 열매는 달다

최근 시장이 안 좋았다. 그래서 아주 잠깐, 인고의 시간을 가지게 됐다. 이제 인고의 시간은 끝난 것일까? 손실 만회를 넘어서, 올해 초 만큼은 아니지만 수익 성장 기대감이 부풀어 오르고 있다. 계속 되는 선택의 기로 앞에서 시험대에 올라가는 듯한 기분... 혹시 내가 틀리면 어떡하지? 지금이라도 발을 빼야할까? 라는 온갖 생각과 고민들... 나도 나를 못 믿지 못하고, 나 자신을 가장 많이 속이는 사람이 나라는 것을 알기에 이 상황을 버틸 힘과 앞으로의 상황을 이겨낼 수 있는 힘, 내 선택에 책임을 가질 수 있는 힘이 필요했다. 그런 힘을 얻기 위해선 공부 또 공부.. 하루하루 엄청 많은 시간을 쏟아 부었고 이번에 또 다시, 그에 대한 대가를 받는 것 같은 기분이다. 그런데 또 되돌아보면 인내만 잘 ..

think different 2025.04.25

PEG란? – 피터 린치가 사랑한 가치+성장 지표

기업을 분석할 때엔 다양한 지표를 활용해서 꼼꼼하게 확인을 하는데요. 투자의 거장인 피터 린치는 'PEG (Price/Earnings to Growth Ratio)'라는 지표를 투자에 많이 활용했다고 합니다. PEG란 어떤 지표인지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PEG의 정의PEG (Price/Earnings to Growth Ratio)는 PER을 이익 성장률로 나눈 값입니다.PEG=PER ÷ EPS 성장률(%)​PER만 보면 현재 주가가 이익에 비해 비싼지 싼지 알 수 있지만,"성장률"까지 반영한 평가 지표가 PEG입니다. ✅ 예시로 쉽게 설명하면A 회사 PER: 20EPS 성장률: 10%PEG = 20 ÷ 10 = 2➡️ 성장률에 비해 비싸게 거래되는 걸 의미B 회사 PER: 15E..

투자 기초 2025.04.25

환율의 대전환, 책 리뷰

경제 공부를 시작하면서 오건영 단장님의 인사이트로 인해 정말 많은 성장을 할 수 있었다. 이렇게 설명을 기깔나게 해 주시는 걸 보면 이렇게 대단한 사람에게서, 이렇게 좋은 환경에, 쉽게 배울 수 있다는 것이 참 감사할 따름이다. 오건영 단장님의 책을 여러 권 읽어봤지만 이번에 또 새로 발간한 책은 정말 너무 읽기가 편했던 것 같다. 내가 많이 성장해서 이해하기 쉬웠다라기 보다는 책 내용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된 듯하다. 이번에도 정말 많은 배움을 얻은 것 같다. 책의 내용을 리뷰하는 것보다는 책의 내용을 이해하면서 나의 생각을 정리하는 리뷰를 작성해 보려고 한다. 달러아휴.. 요즘 트럼프의 입으로 아주 정신이 없다. 너무나 지치는 하루하루다. 그의 변덕스러운 입 때문에 달러가 요즘 신뢰를 잃고 ..

BIS란? – 은행의 체력을 보여주는 안전지표

실적 시즌이 시작되면서 주주들은 기대와 걱정을 품고 있습니다. 최근 국내에서는 주주환원율을 올리기 위해서 애쓰고 있는데요. 아직은 많이 아쉽지만 점차 나아지리라 기대해 봅니다. 특히나 은행이 주주환원에 적극적인 모습인데요. 하지만 주주환원을 하기 위해서는 외부 압력에도 튼튼하게 방어할 수 있는 자기 자본이 충분해야 합니다. 은행이 앞으로 얼마나 주주환원을 할 수 있을까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자기 자본비율, BIS Capital Adequacy Ratio)인데요. 오늘 이 지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BIS의 정식 명칭은?BIS 비율 (BIS Ratio)= 국제결제은행(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이 제시한은행의 자본 건전성을 측정하는..

투자 기초 2025.04.23

전기차와 스마트폰의 숨은 영웅, 디스프로슘이 뭐길래? 용도에 대해서 알아보자

미중 무역 갈등으로 글로벌 무역 공급망이 혼란스럽습니다. 경기 침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요. 미국이 중국에게 무역 관세를 높게 때려버리자 중국도 이에 질세라 보복 관세로 대응했습니다. 추가로 희토류 수출 제한 까지 두는 묘수를 두었는데요. 지난번 희토류에 대해서 설명드린 바가 있습니다. 그 중에 디스프로슘이라 불리는 희토류 원소가 핵심인데요. 이 광물이 수출 중단 되며 여러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디프로슘이란 무엇일까요? 오늘은 디스프로슘이란 무엇인지 주요 용도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희토류 금속이란 무엇일까? 미국이 왜 그렇게 탐내는지 알아보자미국은 그간 우크라이나에 지원해 온 무기 등의 대가로 광물 개발 지분을 요구했고, 이에 양국은 희토류를 비롯한 우크라..

위버멘쉬, 책 리뷰

명상록이라는 서적 외에는 철학 서적을 읽어 본 적이 없다. 위버멘쉬, 이 책은 철학 분야하면 많은 이들이 알고 있을 인물, 프리드리히 니체의 철학을 본받아 작성한 듯하다. 한국 사람이라면 다 알 듯, 연예인들의 연예인인 지드래곤이 오랜 휴식기를 끝내고 복귀한 앨범명이 위버멘쉬다. 나는 철학 서적을 딱히 좋아하진 않는다. 그러나 철학 분야를 좋아한다. 쉽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어렵지도 않은 듯한.. 아무래도 개인이 세상을 이해하는 이념이기에 누군가의 철학을 이해하고 느낄 때에 많은 것을 배운다. 나는 철학 서적을 통해 배우기보다는 어떤 한 인물의 행동, 말투, 분위기에서 배우곤 한다. 그래서 이 책을 읽고 난 한줄평은 쉽게 읽기 좋다. 좋은 말들도 많고, 나라는 사람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나는 세상을 어..

왜 그들만 부자가 되는가, 책 리뷰

읽은 지 꽤 됐으나 요즈음 귀찮음이 부쩍 늘어서.. 이제야 책 내용을 정리하게 된다. 아무래도 '돈'에 대한 공부를 많이 해왔던 터라 내용들이 쉽게 읽혔다. 그리고 기대 이하였다. 그동안 쌓아왔던 내공 때문이었을까, 대단한 인사이트는 못 느꼈다. 그래도 책이라는 게 어떻게 안 좋을 수가 있겠는가.. '돈'에 대해서 공부를 하는 사람이라면 용량도 크지 않기에 편안하게 읽어보기 좋은 책이라 생각한다. 좋은 화폐와 나쁜 화폐책의 내용에서는 좋은 화폐와 나쁜 화폐를 구분한다. 이 둘의 구분을 표현하자면, 국가적 강압 없이 사람들이 교환 수단으로 사용하고 싶은 물건에 자발적으로 합의한다면 경쟁 과정을 거쳐 좋은 화폐 good money, 즉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교환 수단이 탄생한다. 그러나 국가의 주도 아..

주절주절.. I Hope, I Think, I Know

시간은 흐르는 것이 아니라 쌓아가는 것이다. 나의 지난날의 다짐. 2025년이 밝고 나서 벌써 100일이란 시간이 훌쩍 지났다. 너무 가혹할 정도로 시간이 빠르다. 지금까지 어떻게 달려왔는지 모를 정도로 정신없다. 하루하루가 왜 이렇게 피곤한 걸까.. 피곤한 몸을 침대에 맡기고 폰을 만지작만지작 거리던 중에 친구 놈이 전화가 온다. 역시나 쓸데없는 말이다. 그래도 좋다. 이런 전화를 받으면 나는 과거의 나로 돌아가 있다. 그렇게 친구와 서로 버릇처럼 쌍욕과 농담을 주고받으면서 웃는다. 그런데 이놈이 죽을 때가 다 됐는지 머리를 밀었단다. 그리고는 이제 주 1회 운동도 할 거고 정신줄 잡을 거라는데 구라 치지 말라고 맞받아 쳤다. 말은 그렇게 했지만, 내심 진심이길 바랐다. 아무리 말해도 바뀌지 않는 녀..

think different 2025.04.21

증거금 vs 예수금, 투자 초보도 쉽게 이해하자!

처음 주식이나 선물·옵션 투자를 하다 보면 헷갈리는 용어가 있죠. 그중 가장 많이 헷갈리는 것이 바로 ‘예수금’과 ‘증거금’입니다. 두 단어 모두 ‘투자할 수 있는 돈’과 관련되어 있지만, 의미와 쓰임은 꽤 다릅니다. 지금부터 초보자 눈높이에 맞춰 쉽게 설명드릴게요! ✅ 1. 예수금이란?예수금 = 내 계좌에 실제로 들어있는 돈쉽게 말해, 내가 증권사 계좌에 입금한 현금입니다.이 돈으로 주식을 사거나, 다른 금융 상품을 투자할 수 있어요.📌 예시:내가 증권사 계좌에 100만 원을 입금했어요.→ 이 100만 원이 예수금입니다. ✅ 2. 증거금이란?증거금 = ‘거래를 하기 위한 보증금’특히 **신용 거래(빚내서 투자)**나 선물·옵션 거래에서 자주 등장해요.내가 전체 금액을 다 내지 않고도 거래를 할 수..

투자 기초 2025.04.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