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제 뉴스를 보다보면 '지주회사', '모회사', '자회사'라는 경제 용어들이 많이 눈에 띕니다. 생소한 경제 용어에 조금 복잡하게 느끼실 수도 있는데요. 어렵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런 간단한 용어들을 익혀놓으면 경제와 기업의 활동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수 있으실 겁니다. 오늘은 지주회사와 모회사, 그리고 자회사라는 경제 용어의 각각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볼 건데요. 간단하게 쉽게 정리해봤으니 정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지주회사, 자회사, 모회사 개념과 특징 정리
반응형
1. 모회사(Parent Company)
- 다른 회사를 지배하는 회사
- 자회사의 지분을 일정 비율 이상 보유하고 있음
- 반드시 지주회사일 필요는 없음 (자체 사업을 운영할 수도 있음)
→ 예시:
- 삼성전자(모회사) → 삼성디스플레이(자회사)
- 현대자동차(모회사) → 기아(자회사)
2. 자회사(Subsidiary)
- 모회사(또는 지주회사)가 일정 비율 이상의 지분을 소유한 회사
- 법적으로는 독립된 기업이지만, 의사 결정에서 모회사의 영향을 받음
특징:
- 모회사가 50% 초과의 지분을 보유하면 경영권을 행사 가능
- 100% 지분을 보유하면 완전 자회사(Wholly Owned Subsidiary)라고 함
→ 예시:
- 삼성전자(모회사) → 삼성SDI(자회사)
- 현대자동차(모회사) → 현대모비스(자회사)
3. 지주회사(Holding Company)
- 다른 회사(자회사)의 지분을 보유하여 지배하지만, 자체적인 사업 활동은 하지 않거나 제한적인 회사
- 주로 투자와 경영 관리 역할을 수행
- 지주회사는 반드시 모회사이지만, 모든 모회사가 지주회사는 아님
지주회사 요건(한국 기준)
- 자회사 지분을 상장사 20% 이상, 비상장사 40% 이상 보유해야 함
- 자체 사업을 운영하면 법적으로 제약을 받을 수 있음
→ 예시:
- LG그룹의 지주회사 → ㈜LG
- ㈜LG(지주회사) → LG전자, LG화학, LG생활건강 (자회사)
- SK그룹의 지주회사 → ㈜SK
- ㈜SK(지주회사) →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자회사)
차이점 정리
구분 | 정의 | 주요 특징 | 예시 |
모회사 | 다른 회사를 지배하는 회사 | 자회사 지분 보유, 자체 사업 운영 가능 | 삼성전자(모회사) → 삼성디스플레이(자회사) |
자회사 | 모회사(또는 지주회사)가 지배하는 회사 | 모회사가 일정 지분 이상 보유 | LG전자(자회사) → ㈜LG(모회사) |
지주회사 | 자회사 지배가 목적이며 자체 사업은 제한적 | 투자 및 경영 관리 역할, 법적 규제 존재 | ㈜SK(지주회사) → SK텔레콤(자회사) |
핵심 차이점:
- 모회사는 자회사 보유 가능하지만 자체 사업도 할 수 있음
- 지주회사는 법적으로 자회사 지배가 주목적이며, 자체 사업이 제한될 수 있음
- 자회사는 모회사 또는 지주회사가 지배하는 기업
728x90
반응형
'경제 > 금융&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망 보험금을 연금으로 전환한다? 연금 전환 옵션이란 무엇인가? (51) | 2025.03.31 |
---|---|
횡재세란 무엇일까? 사례와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58) | 2025.03.30 |
바이백 블랙아웃(Buyback Blackout)이란?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자 (67) | 2025.03.28 |
지분형 모기지란 무엇일까? 공유형 모기지와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76) | 2025.03.27 |
통화량 측정 지표 <M1, M2, M3>란 무엇일까? (78)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