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지난번 시간에는 본원통화와 광의통화에 대한 개념, 그리고 통화량 측정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지난번 통화의 개념에 이어서 통화량 측정을 하는 지표 <M1, M2, M3>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지난번 글 내용에서도 M2, M3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비교도 해봤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좀 더 제대로 알아보고 비교해보는 시간 가져보려고 합니다. 본원통화와 광의통화의 개념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이제부터 통화량 측정을 하는 지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1, M2, M3: 통화 공급 (Money Supply)의 개념
M1, M2, M3는 경제에서 통화량(돈의 양)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각각 포함하는 자산의 범위가 다르며, 유동성이 높을수록 더 빨리 현금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반응형
M1: 가장 유동성이 높은 통화
정의:
-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현금 및 요구불예금(demand deposits)
- 경제에서 가장 빠르게 소비될 수 있는 돈
포함 항목:
- 현금 (Currency in Circulation) – 지폐와 동전
- 요구불예금 (Checking Deposits) – 언제든 인출 가능한 예금 (수표, 체크카드 사용 가능)
- 중앙은행 예금 (Reserves at the Central Bank) – 은행이 중앙은행에 예치한 지급 준비금
특징:
- 가장 유동성이 높은 통화
- 즉시 거래에 사용 가능
- 단기적으로 물가와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침
M2: M1 + 단기 저축성 예금
정의:
- M1에 더해 조금 덜 유동적인 통화 포함
- 단기적인 저축성 예금과 금융상품 포함
포함 항목:
- M1 (현금 + 요구불예금) 포함
- 저축예금 (Savings Deposits) – 언제든 찾을 수 있지만 수표 발행 불가
- 소액 정기예금 (Small Time Deposits, 만기 1년 미만)
- MMF (Money Market Funds) – 단기 금융상품 투자
특징:
- 현금보다 바로 사용하기 어렵지만, 비교적 빠르게 현금화 가능
-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을 조절할 때 주로 참고하는 지표
M3: M2 + 장기 금융상품
정의:
- M2에 더해 더 장기적인 금융자산 포함
- 유동성이 낮지만 여전히 통화 공급에 포함되는 금융상품 포함
포함 항목:
- M2 포함
- 대형 정기예금 (Large Time Deposits) – 기업이나 부유층이 보유하는 정기예금
- 기관투자자용 MMF (Institutional Money Market Funds)
- 유동성 낮은 채권 (Long-Term Securities)
특징:
- 가장 넓은 범위의 통화 개념
- 직접 소비로 연결되기 어렵지만, 금융시장 유동성에 영향
M1, M2, M3 비교표
구분 | 포함 항목 | 유동성 | 특징 |
M1 | 현금, 요구불예금 | 🔥 매우 높음 | 즉시 거래 가능 |
M2 | M1 + 저축예금, 소액 정기예금, MMF | ✅ 높음 | 단기적인 저축 포함 |
M3 | M2 + 대형 정기예금, 기관용 MMF, 장기채권 | 📉 낮음 | 금융시장 유동성 반영 |
728x90
M1, M2, M3의 경제적 의미
- M1 증가 → 소비 증가, 인플레이션 위험 증가
- M2 증가 → 경제 성장과 투자 활성화 신호
- M3 증가 → 금융시장 유동성 증가
정리:
✔ M1 → 현금과 즉시 사용 가능한 돈
✔ M2 → M1 + 단기 저축 (유동성 있음)
✔ M3 → M2 + 장기 금융상품 (유동성 낮음)
각 통화 지표는 중앙은행(예: Fed, 한국은행)이 금리 정책을 결정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728x90
반응형
'경제 > 금융&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백 블랙아웃(Buyback Blackout)이란?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자 (67) | 2025.03.28 |
---|---|
지분형 모기지란 무엇일까? 공유형 모기지와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76) | 2025.03.27 |
본원통화와 광의통화란 무엇일까? 차이점과 통화량 측정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자 (46) | 2025.03.23 |
SEP 경제전망요약이란 무엇일까? (40) | 2025.03.22 |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란 무엇이며 장단점은 뭐가 있을까? (73)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