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계의 살아있는 전설이라고 불리는 워런 버핏은 자신의 아내에게 자신이 죽게 되면 자신의 재산 90%는 S&P500에 나머지 10%는 채권에 투자하라는 유언을 남겼었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미국에서 태어나고 미국에 투자할 수 있었던 것은 행운이라는 말을 하기도 했는데요.
워런 버핏은 왜 그런말들을 했을까요? 오늘날의 S&P500 지수가 증명해주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로 하락하는 경우가 있지만 결국은 이렇게 우상향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운용사에서는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상품들을 많이 출시하는데요.
나는 어떤 상품을 매수 해야하지?라는 생각이 드실 분들을 위해 해외 ETF 뿐만 아니라 국내 ETF까지 정리해서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해외 S&P500 ETF 종류와 차이점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중에서 가장 인기 있는 SPY, IVV, VOO, SPLG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각 ETF의 특징과 차이점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4가지 ETF의 공통점
- S&P 500 지수 추종: 네 가지 ETF 모두 미국 대형주 중심의 S&P 500 지수의 수익률을 추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저렴한 비용: 일반적인 펀드에 비해 운용 비용이 매우 저렴하여 장기 투자에 유리합니다.
- 높은 유동성: 거래량이 많아 원하는 시점에 매매가 가능합니다.
각 ETF의 특징 및 차이점
ETF | 운용사 | 운용보수 | 특징 |
SPY (SPDR S&P 500 ETF Trust) |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 0.0945% | 세계 최초의 ETF로 가장 큰 규모와 높은 유동성을 자랑합니다. 하지만 운용보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입니다. |
IVV (iShares Core S&P 500 ETF) | BlackRock | 0.03% | SPY와 유사하지만 운용보수가 매우 저렴합니다. 운용 규모도 크고 유동성이 높습니다. |
VOO (Vanguard S&P 500 ETF) | Vanguard | 0.03% |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뱅가드에서 운용하는 ETF로, 저렴한 비용과 뛰어난 성과로 인기가 많습니다. |
SPLG (SPDR S&P 500 ETF) |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 0.07% | SPY와 유사하지만 주당 가격이 낮아 소액 투자자들에게 유리합니다. 운용보수는 SPY보다는 저렴하지만 IVV나 VOO보다는 높습니다. |
어떤 ETF를 선택해야 할까요?
- 운용보수: 운용보수가 낮을수록 장기적으로 유리합니다. IVV와 VOO가 SPY와 SPLG보다 운용보수가 낮습니다.
- 규모: 규모가 클수록 유동성이 높고 안정적입니다. SPY와 IVV가 규모가 가장 큽니다.
- 주당 가격: 소액 투자자라면 주당 가격이 낮은 SPLG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운용사: 각 운용사의 투자 철학과 운용 성과를 비교하여 선택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어떤 ETF가 가장 좋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투자자의 투자 목표, 투자 기간, 위험 감수 성향 등을 고려하여 자신에게 맞는 ETF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각 ETF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SPY: 높은 유동성과 긴 역사를 중시하는 투자자
- IVV: 낮은 운용보수와 넓은 인지도를 선호하는 투자자
- VOO: 뱅가드의 저비용 투자 철학에 공감하는 투자자
- SPLG: 소액 투자자 또는 주당 가격에 민감한 투자자
국내 S&P500 ETF 종류와 차이점
국내에서 거래되는 S&P 500 ETF는 미국 S&P 500 지수를 추종하며, 국내 투자자들이 간편하게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입니다. 다양한 증권사에서 S&P 500 ETF를 출시하고 있으며, 각 ETF마다 운용보수, 추종 지수, 환헤지 여부 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주요 국내 S&P 500 ETF 비교
ETF 명칭 | 운용사 | 운용보수 (2024년 11월 기준) | 주요 특징 |
KBSTAR 미국S&P500 | KB자산운용 | 0.1562% |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저렴한 운용보수 |
삼성 KODEX 미국S&P500TotalReturn | 삼성자산운용 | 0.166% | 배당금을 재투자하여 총수익을 추종 |
한국투자ACE 미국S&P500 | 한국투자증권 | 0.1692% | 꾸준한 성과와 안정적인 운용 |
미래에셋TIGER 미국S&P500 | 미래에셋자산운용 | 0.1761% | 다양한 관련 상품 제공 |
위 표는 대표적인 국내 S&P 500 ETF를 간략하게 정리한 것으로, 실제 투자 전에는 반드시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국내 S&P 500 ETF 선택 시 고려 사항
- 운용보수: 장기 투자 시 운용보수가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운용보수가 낮은 ETF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유리합니다.
- 추종 지수: 대부분의 ETF가 S&P 500 지수를 추종하지만, 일부 ETF는 S&P 500 지수를 변형하여 추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환헤지 여부: 환헤지를 적용한 ETF는 환율 변동의 영향을 줄일 수 있지만, 그만큼 운용보수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 운용사의 역량: 운용사의 ETF 운용 경험과 노하우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국내 S&P 500 ETF 투자 시 주의사항
- 환율 변동 위험: 미국 주식 시장에 투자하는 만큼 환율 변동에 따라 수익률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세금: ETF 투자 시 발생하는 수익에 대해서는 세금이 부과될 수 있으므로, 관련 내용을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
- 개별 종목 분석의 어려움: ETF는 다수의 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상품이므로, 개별 종목에 대한 분석은 어렵습니다.
- 장기 투자: 단기적인 시장 변동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적으로, 국내 S&P 500 ETF는 미국 주식 시장에 간접 투자하고 싶은 투자자들에게 좋은 선택지입니다. 하지만 다양한 ETF가 존재하는 만큼, 투자 목표와 투자 기간, 위험 감수 성향에 맞는 ETF를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이렇게 해외 ETF와 국내 ETF에 대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해외 투자도 좋고 절세 계좌를 통한 투자를 통해 세금도 아끼며 효율적인 투자도 좋습니다. 지난번 소개드렸었던 절세 계좌 (개인연금, ISA, IRP퇴직연금)를 이용해서 장기 투자 하시는 것이 어떨까요?
투자는 개인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져야 하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알아보기
정부에서 제공하는 절세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상품 연금저축과 IRP 개인형 퇴직연금에 대해서 알아보았었는데요. 이렇게 알아본 두 가지 상품은 노후대비를 위한 오랫동안 돈이 묶여있는 단점을
thisshitishot.tistory.com
노후준비! <IRP> 개인형퇴직연금 알아보기
지난번 노후준비에 대해서 연금저축을 소개했었습니다. 연금저축에 이어 이번에 소개할 상품은 IRP 개인형 퇴직연금이라는 정부에서 제공해 주는 절세 혜택 상품 중 하나입니다. 국민연금만 알
thisshitishot.tistory.com
노후준비! 연금저축 알아보기
지난번 재테크를 설명으로 절세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상품을 다루겠다고 했었죠. 이번에 알아볼 상품은 연금저축입니다. 매달 국민연금 세금을 내고 있는데 또 무슨 연금저축 상품을 가입하냐
thisshitishot.tistory.com
20세기 최고의 발명품 ETF에 대해서 알아보자 <feat. ETN>
오늘은 20세기 최고의 발명품이라 불리는 파생상품 ETF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ETF 상품 매수는 하나의 기업을 매수하는 것처럼 주식시장에서 쉽게 매수할 수가 있습니다. 주식 투자 초보자들이 접
thisshitishot.tistory.com
'투자 기초 > money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타랠리란 무엇인지, 어떤 투자전략을 세워야 할까? <feat. 11-4 시즌널리> (127) | 2024.12.08 |
---|---|
나스닥100 추종 국내·해외 ETF 종류와 차이점 정리 (98) | 2024.11.12 |
계속 오르는 금 값.. 금 투자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12) | 2024.11.04 |
38개월 만에 시작된 긴축 완화! 금리인하 수혜주는 뭐가 있을까? (92) | 2024.10.14 |
파생상품 커버드콜을 이용해서 현금흐름 만드는 ETF 전략 (43) | 2024.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