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기초/money Tip

계속 오르는 금 값.. 금 투자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머니 iN 사이트 2024. 11. 4. 00:10
728x90
반응형

천정부지 계속해서 오르는 금 값.. 과연 얼마나 오를까요? 나도 투자하고 싶은데 마땅히 방법을 모르겠다 하시면 금 투자법에 대해서 정리를 해볼 테니 끝까지 잘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금이 왜 이렇게 천정부지로 올라가는지에 대해서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금 투자 방법 종류와 주의사항

크게 나누어 실물 금 투자와 금융 상품 투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실물 금 투자

  • 골드바: 가장 직관적인 방법으로, 금을 직접 소유하고 물리적으로 보관합니다.
    • 장점: 실물 소유에 대한 안정감, 자유로운 매매
    • 단점: 보관의 어려움, 도난 위험, 높은 초기 투자금
  • 골드코인: 골드바와 유사하지만 소액 투자에 적합하고 다양한 디자인이 있습니다.
  • 금 통장 (골드 뱅킹): 은행 계좌에 금을 사고파는 방식으로, 현금처럼 사용 가능합니다.
    • 장점: 소액 투자 가능, 현금처럼 사용 가능
    • 단점: 은행 금리에 따라 수익률이 변동될 수 있음

2. 금융 상품 투자

  • KRX 금 현물: 한국거래소에서 금을 현물로 거래하는 방식으로,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매매가 가능합니다.
    • 장점: 소액 투자 가능, 높은 유동성, 세제 혜택
    • 단점: 시장 변동성에 따른 가격 변동 위험
  • 금 ETF: 금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로, 주식처럼 거래소에서 매매할 수 있습니다.
    • 장점: 분산투자 효과, 높은 유동성
    • 단점: 운용보수 발생
  • 금 관련 주식: 금 채굴 기업이나 금 관련 사업을 하는 기업의 주식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 장점: 기업 성장에 따른 추가 수익 기대
    • 단점: 주식 시장 변동성에 따른 높은 위험
ⓒ Unsplash 의 Jingming Pan
반응형

왜 금 투자를 할까요?

  • 인플레이션 방지: 물가가 상승할 때 화폐 가치는 떨어지지만, 일반적으로 금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거나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비책으로 금을 보유하는 것이죠.
  • 위기 시 안전자산: 경제 위기나 금융 시장 불안 시에는 금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져 금값이 상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위기 상황에서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투자: 주식이나 부동산처럼 다른 투자 상품과 함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투자의 다변화를 추구할 수 있습니다.
  • 소액 투자 가능: 적은 금액으로도 금에 투자할 수 있어 접근성이 좋습니다.

어떤 투자 방법이 좋을까요?

  • 투자 목표: 단기적인 수익을 원하는지, 장기적인 자산 증식을 목표로 하는지에 따라 적합한 방법이 달라집니다.
  • 투자 금액: 소액으로 시작할지, 큰 금액을 투자할지에 따라 선택의 폭이 달라집니다.
  • 위험 감수 성향: 안정적인 투자를 선호하는지, 높은 수익을 위해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지에 따라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금 투자 시 주의사항

  • 장기적인 관점: 금 가격은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크지만, 장기적으로는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단기적인 변동에 일희일비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 분산 투자: 금에만 집중적으로 투자하기보다는 다른 자산과 함께 분산 투자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전문가 상담: 투자에 앞서 전문가와 상담하여 자신에게 맞는 투자 방법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안전자산이라 불리는 금, 왜 이렇게 오를까?

천정부지 치솟는 금은 안전자산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과거의 거래 수단이 현재의 화폐가 아닌 금이었던 역사가 있죠. 올해 1월 트로이온스당 2063달러였던 금 값은 현재 최고점 2801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자도 주지 않는 금이 왜이렇게 오를까요? 요즘 금 시세가 오르는 데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생기다 보니 천천히 오르던 안전자산이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금값 상승의 주요 원인

  • 인플레이션 우려: 물가 상승률이 높아지면 화폐 가치가 하락하고, 상대적으로 가치가 안정적인 금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집니다.
  • 경제 불안정: 경제 전망이 불투명하고 지정학적 리스크가 높아지면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인 금으로 자금을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 미국 달러 약세: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 금을 구매하는 데 필요한 달러량이 줄어들어 금 수요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중앙은행의 금 매입: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외환보유고를 다변화하기 위해 금을 매입하면서 수요가 증가합니다.
  • 저금리 기조: 금리는 일반적으로 금값과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 금에 대한 매력도가 높아집니다.

이렇게 크게는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사항들로는 지난 금융위기 때마다 미국 중앙은행의 돈풀기로 인해 미국 화폐, 달러에 대한 공신력을 잃게 됐기 때문인데요. 미국의 재정적자는 역대 최고를 경신하고 있죠. 돈의 양이 늘어나면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며 인플레이션이 발생해 부동산과 금 같은 실물자산의 가치가 오르게 됩니다.
 
이 와중에 미국의 대선이 코 앞입니다. 정치인들은 자신이 당선되기 위해서 돈풀기를 마다하고 있죠. 게다가 트럼프는 자신이 당선된다면 금리를 낮출 것이고 다른 국가들의 수입 물품 관세를 올리고 미국의 기업과 국민들을 위한 법인세, 소득세 감면을 선언했습니다. 트럼프의 말을 경제학으로 푼다면 인플레이션이 다시 발생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금리 인하는 시중 유동성이 늘어나는 것이고 물품 관세 인상과 세금 감면은 물건 값이 상승하며 소비가 늘어나게 된다는 뜻이죠. 결국 미국의 재정적자는 늘어날 것이고 이에 대한 기축통화 달러에 대한 공신력은 계속해서 잃어가게 됨으로써 금 값은 상승하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제 코 앞으로 다가온 대선, 과연 어떻게 될까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