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뉴스나 경제 기사에서 "양적긴축(QT, Quantitative Tightening)"이라는 말을 자주 들어보셨을 거예요. 지난 FOMC 기자회견에서 연준의장 파월은 양적긴축 규모를 축소한다고 밝히기도 했는데요. 어려워 보이지만, 사실 핵심 개념만 잘 이해하면 충분히 쉽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양적긴축이란 무엇인지, 왜 하는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양적긴축이란?
양적긴축(Quantitative Tightening, QT)은 중앙은행이 시중에 풀린 돈을 다시 회수하는 정책입니다.
쉽게 말하면,
"경제에 풀린 돈이 너무 많아서 물가가 오르니까, 그 돈을 다시 걷어들이는 것"
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예시로 이해해 볼까요?
과거에는 경기가 너무 안 좋아서 중앙은행이 돈을 시장에 풀었습니다. 이걸 양적완화(QE, Quantitative Easing)라고 해요.
반대로 경기가 과열되거나 물가가 너무 오르면, 이제 돈을 다시 걷어들여야겠죠?
이게 바로 양적긴축입니다. 양적완화는 다음번에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양적긴축은 어떻게 하나요?
중앙은행이 양적긴축을 할 때는 주로 두 가지 방법을 씁니다:
- 보유한 국채를 만기까지 들고 있다가 재투자하지 않음
- 예: 만기 도래한 국채가 100억 원어치 있다면, 다시 사지 않고 그냥 현금으로 회수.
- 보유한 자산을 시장에 팔아버림
- 예: 중앙은행이 가지고 있던 채권을 금융시장에 팔아서 현금을 다시 걷어들임.
이렇게 하면 시중에 있는 돈(유동성)이 줄어들고, 경제가 조심스럽게 식기 시작합니다.
💡 왜 양적긴축을 할까요?
- 물가(인플레이션)를 잡기 위해
- 시중에 돈이 많으면 사람들은 소비를 더 많이 하고, 기업은 가격을 더 올리게 되죠.
- 이로 인해 물가가 계속 오르면 국민 생활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조절하려는 거예요.
- 경제 과열 방지
- 지나친 자산 가격 상승(부동산, 주식 등)을 막기 위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양적긴축이 우리에게 주는 영향은?
- 대출 금리가 오를 수 있어요
- 돈이 귀해지니까 은행이 대출을 더 신중히 하게 되고, 금리가 오릅니다.
- 주식시장에 부정적 영향
- 유동성이 줄어드니까 위험자산인 주식에서 자금이 빠져나갈 수 있어요.
- 환율 영향
- 양적긴축을 하는 나라는 통화가 강해지는 경향이 있어요.
예: 미국이 QT를 하면 달러 강세 → 원화 약세 가능성
- 양적긴축을 하는 나라는 통화가 강해지는 경향이 있어요.
📌 정리하면?
구분 | 양적완화(QE) | 양적긴축(QT) |
목적 | 경기 부양 | 물가 안정, 유동성 조절 |
방법 | 채권 매입 → 돈을 시장에 풀기 | 채권 재매입 중단 or 매도 → 돈 회수 |
시장 영향 | 유동성 증가 → 자산가격 상승 | 유동성 감소 → 자산가격 조정 |
✏️ 마무리하며
양적긴축은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결국은 돈을 얼마나 시장에 풀지, 걷어들일지에 대한 중앙은행의 선택입니다.
우리 실생활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니, 간단한 개념만이라도 알고 있다면 뉴스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어요.
📌 다음 글 보기: [양적완화(QE)이 뭐예요? 쉽게 이해하는 중앙은행의 완화 정책]
양적완화(QE)이 뭐예요? 쉽게 이해하는 중앙은행의 완화 정책
지난 시간에는 양적긴축(QT)에 대해서 소개드렸었죠. 내용에서는 양적완화라는 용어가 나오면서 비교를 했었는데요. 지난번 설명대로 쉽게 말해, 양적긴축과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이번에는 양
thisshitishot.tistory.com
'경제 > 금융&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적완화와 양적긴축,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까? (72) | 2025.04.09 |
---|---|
양적완화(QE)이 뭐예요? 쉽게 이해하는 중앙은행의 완화 정책 (79) | 2025.04.08 |
미국의 금융 규제법 글래스-스티걸 법이란? (66) | 2025.04.06 |
우리나라 저축은행과 일반은행은 다르다? 차이점과 구분에 대해서 알아보자 (72) | 2025.04.04 |
한국판 공포지수 <VKOSPI>란 무엇일까? (85)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