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제 블로그에서는 '달러 스마일' 이론에 대해서 알아보았었는데요.
경기 호황일 때, 경기 불황일 때에 달러가 강해진다는 내용이었죠.
달러스마일이란? 이를 활용한 투자전략을 세워보자!
우리는 '달러'에 대해서 공부하고 이해해야 합니다. 달러는 '기축통화'이기 때문인데요. 기축통화란 국제 단위의 결제나 금융거래의 기본이 되는 화폐를 의미합니다. 즉 우리나라 통화인 원화
thisshitishot.tistory.com
그렇게 보면 달러는 안 좋은 때가 없네?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요.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모순적인 면이 존재하거든요.
경제가 돌아가는 원리 중 하나가 수요와 공급의 법칙이죠.
기축통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달러를 전 세계에 공급해야하는데,
이 과정 중에 미국이 겪는 모순적인 면이 트리핀의 딜레마라고 불립니다.
한 경제학자가 기축통화 달러를 보고 문제점을 지적하며 생긴 경제 용어입니다.
'트리핀의 딜레마',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트리핀의 딜레마(Triffin's Dilemma)란?
트리핀의 딜레마는 국제 기축통화(예: 미국 달러)를 발행하는 국가가 겪을 수밖에 없는 구조적 모순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벨기에 경제학자 로버트 트리핀(Robert Triffin)**이 1960년대에 제기했는데요. 그는 달러가 글로벌 기축통화로 유지되려면 미국은 지속적으로 적자를 내야 하지만, 이 적자가 결국 미국 경제에 위기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트리핀의 딜레마 핵심 내용
① 기축통화가 되려면 달러를 세계에 많이 공급해야 함
- 세계 경제가 원활히 돌아가려면 무역과 금융 거래를 위한 충분한 달러 공급이 필요함.
- 미국이 달러를 해외로 공급하려면 무역적자와 경상수지 적자를 계속 내야 함.
- 즉, 미국이 계속 돈을 써야 세계 경제가 안정적으로 돌아감.
② 하지만, 적자가 계속되면 미국 경제가 불안정해짐
- 미국이 계속 적자를 보면 달러 가치는 하락하고, 미국 내 인플레이션과 부채 증가 문제가 발생함.
- 결국 달러에 대한 신뢰가 낮아지고, 기축통화의 역할이 위협받음.
- 이렇게 되면 세계 경제가 불안해지는 역설적인 상황이 벌어짐.
💡 즉, 미국이 달러 공급을 늘리면 달러 가치가 하락하고, 줄이면 세계 경제에 달러가 부족해지는 모순적인 딜레마!
트리핀의 딜레마 실제 사례
1️⃣ 브레튼우즈 체제(1944~1971)와 붕괴
-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달러를 금(金)과 연동한 브레튼우즈 체제가 운영됨.
- 미국이 무역적자를 계속 내면서 세계에 달러가 너무 많이 풀림 → 금 보유량보다 많아짐.
- 결국 1971년 닉슨 대통령이 금 태환 정지를 선언하면서, 브레튼우즈 체제 붕괴!
2️⃣ 현대 글로벌 금융 시스템(달러 패권 유지)
- 현재도 미국은 무역적자(달러 공급) → 부채 증가 → 금융위기 가능성 증가의 딜레마에 빠져 있음.
-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달러를 대량 공급했지만, 최근 긴축(금리 인상)으로 글로벌 경제 충격 발생.
3️⃣ 탈달러(De-dollarization) 논의 증가
- 중국, 러시아 등 일부 국가들은 달러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위안화·금·암호화폐 등을 활용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음.
- 하지만 대체할 기축통화가 없어서 달러 패권은 여전히 유지되는 중.
✅ 결론적으로,
✔ 달러가 기축통화로 유지되려면 미국이 계속 적자를 봐야 하지만, 이는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를 불안정하게 만듦.
✔ 미국이 적자를 줄이면 달러 공급이 줄어들어 세계 경제가 불안해지는 딜레마 발생.
✔ 현재도 트리핀의 딜레마는 계속되고 있으며, 달러 패권이 유지되는 한 이 문제는 해결하기 어려움.
✔ 기축통화 발행국은 통화 공급과 신뢰도 유지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지게 됨.
👉 즉, 미국이 "돈을 계속 써야 세계 경제가 안정된다"는 이상한 모순에 빠져 있는 상황! 😵💫
'경제 > 금융&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CI 선진국지수란 무엇일까? 특징과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65) | 2025.03.01 |
---|---|
<피크아웃, 락바텀, 바텀아웃, 바텀피싱> 네 가지 경제용어 이해하기 (83) | 2025.02.28 |
국부펀드가 무엇일까? 투자 대상과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60) | 2025.02.22 |
달러스마일이란? 이를 활용한 투자전략을 세워보자! (68) | 2025.02.19 |
워런 버핏이랑 똑같이 투자할 수 있다? 13F 공시란 무엇인가? (59)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