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경제 지식

🌍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막는다면?

머니 iN 사이트 2025. 6. 23. 00:01
728x90
반응형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막는다면?

— 세계의 목줄을 틀어쥔 한 나라의 선택

 

🛣️ “여긴 길목입니다. 지구에서 제일 중요한 해상 길목이요.”

지구에서 가장 중요한 바닷길 중 하나, 호르무즈 해협.
지도를 보면 아주 작은 해협이지만, 이곳을 지나가는 유조선이 하루 약 2천만 배럴!
전 세계 석유의 약 30%, 중동산 석유의 90% 이상이 이 좁은 길을 통해 이동합니다.

그야말로 지구 경제의 혈관, 석유 산업의 동맥이죠.

 

호르무즈 해협

 

😈 이란: “기름 나가는 길? 우리가 막을 수도 있지.”

이란은 이 호르무즈 해협 바로 옆에 붙어 있습니다.
그리고 오래전부터 말해왔습니다.

“미국이 우리를 제재하면,
우리도 가만히 있지 않겠다.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겠다.”

이건 단순한 말싸움이 아닙니다.
이란은 이미 정예 혁명수비대 해군미사일, 기뢰, 소형 고속정 등을
해협 주변에 배치해 두고 있습니다.
실제로 봉쇄 가능성은 이론이 아니라 현실입니다.

 

💥 만약 정말로 봉쇄된다면?

그야말로 지정학적 빅뱅이 일어납니다. 다음과 같은 파급 효과가 생깁니다:

 

1. 🛢️ 국제 유가 폭등 (레벨: 미쳤다)

석유 수출에 의존하는 사우디, UAE, 이라크, 쿠웨이트 등이 수출을 못하게 되면
→ 공급 급감
→ 투자자 패닉
유가는 순식간에 150~200달러 돌파 가능성

🔺 에너지 가격이 폭등하면
→ 전 세계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
→ 미국·유럽 금리 정책 다시 흔들
→ 결국 글로벌 경기 침체 압박까지 몰려옴

 

2. 🚢 해상 무역 마비 + 보험료 폭등

  • 유조선들은 호르무즈 해협을 피하거나, 위험을 무릅쓰고 통과해야 함
  • 선박 보험료는 전쟁위험 프리미엄이 붙어 급등
  • 글로벌 해운비용 상승 → 소비자 물가 전이

결과적으로, 단순한 기름값 문제가 아니라 생활비 전체가 상승하는 구조입니다.

 

3. 💣 군사 충돌 가능성 (미 vs 이란)

호르무즈 해협은 국제 해역이자 미국의 안보 이익선에 포함됩니다.
이란이 이를 봉쇄하면
→ 미국은 군사 개입할 명분 확보
→ 중동에서 또 하나의 국지전 or 전면전 가능성

이 경우, 이스라엘도 참전할 수 있고,
이란의 지원을 받는 레바논 헤즈볼라·예멘 후티까지 개입할 수 있어
전선은 더욱 확산될 수 있습니다.

 

4. 🌍 글로벌 정치·외교 지형 급변

  • 중국, 러시아는 이란 편을 들거나 중립을 유지하려 할 수 있고
  • 유럽과 미국은 이란을 제재·고립시키려 할 것입니다
  • 중동 내 사우디-이란 간 대리전도 확대될 수 있죠

이 모든 건 단 한 나라의 행동,
이란이 해협을 막느냐 마느냐에 따라 벌어지는 파장입니다.

 

🎯 그런데… 이란이 진짜 그렇게 할까?

단순한 대답은 “가능하지만, 리스크가 너무 크다”입니다.

🙋 왜 안 할까?

  • 이란도 석유 수출이 생명줄입니다.
    해협을 막으면 자기도 팔 기름이 없어집니다.
  • 미국과 전면전은 패배 가능성이 높고,
    정권 내부 결속에도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음

😈 하지만 왜 할 수도 있을까?

  • 핵 협상 결렬, 극심한 제재 상황
  • 자국 내 불만을 외부 위협으로 돌릴 필요
  • 중동 내 주도권 경쟁에서 “힘을 보여줘야” 할 때

즉, 이란은 ‘선은 넘지 않되, 위협은 강하게’라는 식으로
호르무즈를 “언제든 막을 수 있다”는 시그널을 계속 보내는 중입니다.

 

✅ 정리하면

항목 파급 효과
유가 150~200달러 이상 급등 가능
세계 경제 인플레이션, 금리 불안, 경기 침체 압력
해상 물류 유조선 위험 부담 증가, 보험료 급등
군사 갈등 미국 vs 이란 무력 충돌 가능성 증가
외교 지형 중동 및 세계 강대국 외교 갈등 격화

 

 

📌 결론: 세계는 ‘좁은 해협’에 목줄을 잡힌 셈

호르무즈 해협은 바다 위 좁은 길이지만,
이 길이 막히는 순간 세상은 흔들립니다.

이란은 그걸 잘 알고 있죠.
그래서 지금도 가끔 말합니다.

“막을 생각은 없지만, 막을 수는 있어.”

 

이건 협박일까요? 전략일까요?
어쩌면, 둘 다일지도 모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